Posts

도척지견 盜跖之犬 도척의 개

Image
盜跖之犬 도척지견 : 도척의 개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밥 주는 자에게 무작정 굴종하며 맹종맹동하는 얼뜨기를 이르는 말입니다. 도척은 춘추전국시대의 악명 높은 큰 도둑이며, 그 졸개가 9천여명이나 되었다고 합니다. 도척은 앞뒤를 가림이 없이, 닥치는 대로 유린하고 약탈하는 악마와도 같았다고 합니다. 주)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는 춘추시대와 전국시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BC 770년 주(周)왕조의 천도 후부터 BC 221년 진나라 시황제(始皇帝)의 통일까지 기간을 말함. 그러한 도척 집에 있는 개는 도척이 어떤 놈인지는 알지 못하고, 그저 먹다 남은 밥찌거기나 던져 주는 도척에게만 꼬리를 흔들어 대며, 도척에게 반(反)하는 사람은 그가 누구이냐를 가리지 않고, 옳고 그르고를 헤아리지 않고, 무작정 짖어 대고 물어 뜯습니다. 도척이 짖어라 하면 짖고, 물어라 하면 뭅니다. 짖는 것이 옳은지, 물어 뜯는 것이 옳은지를 스스로 판단함이 없이, 밥찌거기 하나만을 생각하면서, 맹목적으로 움직이고는, 그 더러운 밥찌거기 한 덩이를 얻어 먹고자, 도척의 눈치를 보면서 꼬리를 칩니다. 사람의 몸을 받아 태어나 그 고마움을 알지 못하고, 사람답게 사는 길을 모르는 채, 도척의 개처럼 앞도 뒤도 가리지 못하고, 그저 먹다 남은 밥찌거기 한 덩이 던져 주는 자에게 굴종하며, 비열하고도 악랄한 개 노름을 하는 인간 이하의 존재를 빗대어, 도척의 개라고 합니다. 그러한 인간 쓰레기에게 "사람으로서 할 짓이냐"고 물으면, "나는 그런 것은 모른다. 위에서 시키는 대로 하는 것 뿐이다."라고 서슴없이 내 밷곤 합니다. 누군가가 그런 얼빠진 소리를 뇌까리면, 더 이야기 할 필요도 없이, 그 놈은 도척의 개 같은 놈이라 생각하면 틀림이 없을 것입니다. 어느 분야로 진출하든 개 놀음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나, 외세와 침략자 그리고 그놈들 앞잡이 괴뢰패당의 개 놀음을 하는 머저리가 되지 않도록 해야

뜻 : 삼연, 3연, 연연연, 然然然

Image
然然然 그렇고 그렇고 그렇다. 그러하고 그러하고 그러하다. 우스개로 시작을 하자면, 스승이 제자들에게 "연연연" 이라 하고는, 이어서, "이 무슨 말인가?" 하고 물었다. 아무도 대답을 못하자, 스승이 다시 말하였다. "1년(一年) 2년(二年) 3년(三年) 인가? ..." "이 년(해), 저 년(해), 그 년(해) 인가? ..." "이 년(녀자), 저 년(녀자), 그 년(녀자) 인가? ..." 여기서 말하는 연연연(然然然)은 1년 2년 3년이 아니고, 이년 저년 그년도 아닙니다. 연연연(然然然)은 '그러하고 그러하고 그러하다' 라는 말입니다. 이 말은 세 글자이며 아주 단순해 보이지만, 대단히, 어쩌면 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말 가운데 하나이라 하여도 되지 싶습니다. 우주만물과 인간세상의 리치(理致)를 꿰뚤어 훤히 알고 있는, 곧 얼이 아주 밝은 사람이라야 할 수 있는 말이고, 얼이 아주 밝은 사람도 짚어 헤아려 본 뒤에나 할 수 있는 말입니다. 얼이 밝은 사람이 "연연연"이라 할 때, 무엇을 말하며 무슨 뜻인가를 알아 들으려면, 듣는 사람 역시 얼이 밝아야 합니다. 얼이 어둡거나, 아예 얼이 뜨버린 얼뜨기는, 아무리 자상하게 풀어서 일러주어도 상상할 수도, 감을 잡을 수도 없는 그러한 말입니다. '연연연' 이라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는 참으로 어렵지 싶습니다. 그러하니, 자나깨나 앉으나서나 얼을 밝히고 밝히며 살아야 합니다. 그래야 나이가 들어갈수록, 적어도, "연연연"이 무엇을 말하는지 무슨 뜻인지를 어렴풋이나마 알아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야 사람으로서, 사람의 길을 따라, 사람답게, 살 수 있을 것입니다. 사람의 몸을 받아 태어나서, '연연연' 이라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얼을 밝힌다면, 그 보다 더 큰 기쁨은 없을 것입니다. 블로

낱말 단어 구 문장 절 문단 단락 뜻과 차이 구분

Image
낱말 (단어 單語) 單 홑 단: 하나, 낱개. 語 말씀 어: 말 하나 이상의 글자로 되어 뜻을 나타내는 말. 예) 소, 꽃, 돼지, 금붕어 .... 구 (句) 句 글귀 구 둘 이상의 낱말이 묶여 하나의 문장을 이루는 성분(명사, 동사, 부사, 형용사 등)으로 쓰이는 말 덩이를 말한다. 예) 따뜻한 봄에 소풍을 간다. 에서 "따뜻한 봄" 철수는 깊은 생각에 잠겼다. 에서 "깊은 생각" 문장 (文章) 文 글월 문. 章 글 장 ㅇ 문장이란 말은 문법상의 용어이다. ㅇ 문장에는 단어, 구, 절이 포함된다. ㅇ 주부(主部)와 술부(述部)로 나뉜다 ㅇ 생각, 감정, 움직임, 모양... 등을 표현하는 최소 단위이다. ㅇ 문장 끝에는 마침표(.) 쉼표(.) 물음표(?) 느낌표(!)를 찍는다. ㅇ 문장의 종류에는 평서문(~이다.) 의문문(~인가?) 감탄문(~이구나!) 명령문(~하라.) 등이 있다. 절 (節) 節 마디 절 ㅇ 주어(主語)와 술어(述語)가 갖추어진 하나의 말 덩이로서, 다른 문장속에 들어가 있는 말 덩이. ㅇ 주어(主語): 움직임이나 꼴을 하는 사람, 동물, 물건 등. ~은 ~는 ~이 ~가 ㅇ 술어(述語): 주어의 움직임이나 꼴을 설명하는 말 주어/술어 예): 봄은 따뜻하다. 에서 "봄은" 주어이고, "따뜻하다"는 술어 나는 먹는다. 에서 "나는" 주어이고, "먹는다"는 술어 말이 달린다. 에서 "말이" 주어이고, "달린다"는 술어 철수가 노래한다. 에서 "철수가" 주어이고, "노래한다"는 술어 절의 예) 지현이는 착하다고 한다. 에서, "지현이는 착하다" 부분이 절이다. "지현이는 착하다"는 "지현이"라는 주어와 "착하다"라는 술어가 모두 갖추어진 말

남북 로마자 표기법 Romanization of Korean language

Image
홀소리 (모음) 홀소리 남 북 비고 ㅏ a a ㅑ ya ya ㅓ eo ö ..은 v임 ㅕ yeo yö ㅗ o o ㅛ yo yo ㅜ u u ㅠ yu yu ㅡ eu ü ㅣ i i ㅐ ae ae ㅒ yae yae ㅔ e e ㅖ ye ye ㅚ oe oe ㅟ wi wi ㅘ wa wa ㅝ woe wö ㅙ wae wae ㅞ we we ㅢ ui üi 닿소리 (자음) ㄱ g k ㄲ gg kk ㅋ k kh ㄷ d t ㄸ dd tt ㅌ t th ㅂ b p ㅃ bb pp ㅍ p ph ㅈ j j ㅉ jj jj ㅊ ch ch ㅅ s s ㅆ ss ss ㅎ h h ㄴ n n ㄹ r / l r 첫소리 r, 끝소리 l ㅁ m m ㅇ ng ng 알파벳은 발달 수준이 낮아 우리 소리를 제대로 적을 수 없으므로, 위 표는 절대적 규범으로 될 수가 없음은 자명한 이치일 것입니다. 실제 소리를 가장 가깝게 적을 수 있는 방식으로 적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 하겠습니다. 우리 말과 글은 아주 잘 발달되어 섬세한 소리를 가지고 있고, 알파벳은 그 발달 정도가 매우 낮아, 우리 소리를 로마자로 적는 것은 애초 불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우리 말과 글의 실제 소리에 가장 가깝게 적으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하겠습니다. 바꾸어 말하자면, 우리가 기준입니다. 그러니, 이렇게 적어야 한다, 저렇게 적어야 한다... 이게 맞다, 저게 맞다... 그런 것은 있을 수가 없다 하겠습니다. 더구나, 이런저런 잡소리를 늘어 놓으며, 규정화 하려는 것은 우수한 우리 말과 글을 망치려는 반역사 반민족 역적질 외에 그 무엇도 아닐 것입니다. 발달정도와 과학성에 있어 차원이 달라 아예 비교조차 할 수 없이 저급한 외세의 글자를 기준으로 삼고, 거기에 우리 글을 구겨넣으려는 발상은 어디에서 비롯하겠습니까. 사대매국에 찌들대로찌들었기 때문임은 자명합니다. 굳이 구겨넣으려면, 우리 말과 글을 기준으로 삼고, 우리 말과 글의 틀에 그 저

三一神誥 삼일신고 한자 9 - 衆 善惡淸濁厚薄相雜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衆 善惡淸濁厚薄相雜 從境途任走墮生長消病歿苦 중 선악청탁후박상잡 종경도임주타생장소병몰고 哲 止感調息禁觸 一意化行 返妄卽眞 發大神機 性通功完是 철 지감조식금촉 일의화행 반망즉진 발대신기 성통공완시 衆 무리 중 zhòng 즈홍(죵) 血 피 혈/12획 = (피 혈) + 乑(나란히 설 음) > 乑 (丿 삐침 별/6획, 나란히 설 음, yín 윈) = 眾 (目 눈 목/11획, 무리 중): 衆의 본자(本字) = 㐺 (亻 사람인변/6획, 무리 중): 衆과 동자(同字) = 众 (人 사람 인/6획, 무리 중): (중)衆의 간체자(簡體字), 독자간체 350자 善 착할 선 shàn 스햔(샨) 口 입 구/12획 = 羊(양 양) + 䒑(풀 초) + 口(입 구) = 譱 (言 말씀 언/20획, 착할 선): 善의 본자(本字) > 상대자: 惡(心 마음 심/13획, 나쁠 악, 미워할 오) 惡 ① 나쁠 악 è 으 ② 미워할 오 wù 우 心 마음 심/12획 = 亞(버금 아) + 心(마음 심) > 亞 (二 두 이/8획, 버금 아): 버금 = 으뜸 바로 아래 > 상대자: 善 (口 입 구/12획, 착할 선) = 悪 (心 마음 심/11획, 나쁠 악, 미워할 오): 惡의 속자(俗字) = 僫 (亻 사람인변 = 人 사람 인/14획, 나쁠 악, 미워할 오): 惡의 속자(俗字) = 恶 (心 마음 심/10획, 나쁠 악, 미워할 오): (중) 惡의 간체자(簡體字) 淸 맑을 청 qīng 칭 氵 물수변/11획 = 氵(물수변 = 水 물 수) + 靑(푸를 청) > 상대자: 濁 (氵 삼수변/16획, 흐릴 탁) = 清 (氵 물수변 = 水 물 수/11획, 맑을 청): 淸의 속자(俗字) 濁 흐릴 탁 zhuó 쯔후어(쮸어) 氵 삼수변/16획 = 氵(삼수변 = 水 물 수) + 蜀(

三一神誥 삼일신고 한자 8 - 眞妄對作三途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眞妄對作三途 曰感息觸 轉成十八境 진망대작삼도 왈감식촉 전성십팔경 感 喜懼哀怒貪厭 감 희구애로탐염 息 芬 寒熱震濕 식 분란한열진습 觸 聲色臭味淫抵 촉성색취미음저 眞 참 진 zhēn 젼 目 눈 목/10획 > 상대자: 僞 (亻 사람인변/14획, 거짓 위) = 真 (目 눈 목/10획, 참 진): 眞의 속자(俗字) 妄 헛될 망 wàng 왕 女 계집 녀/6획 > 이치와 진실에 어긋나 헛되다 = 亡(망할 망) + 女(계집 녀) 對 마주 대 duì 뚜웨이 寸 마디 촌/14획 > 마주하다 = 丵(떨기풀 착) + 一(한 일) + 寸(마디 촌) > 丵 (丨 뚫을 곤/10획, 떨기 풀 착 zhuó 쬬어): 叢生艸也 떨기로 나는 풀 (중) <량사> 두개가 짝을 이루는 것을 셈 (중) <형용사> 맞다, 옳다, 정확하다, 정상이다 (중) <개사> ~에 대하여, ~에 대해서 (중) 편방용 132 자 = 対 (寸 마디 촌/7획, 마주 대): 對의 약자(略字) = 对 (寸 마디 촌/5획, 마주 대): 對의 속자(俗字). (중) 對의 간체자(簡體字) 作 지을 작 zuò 쮸어 亻 사람인변/7획 > 짓다: 무엇을 짓다, 만들다 = 亻(사람인변 = 人 사람 인) + 乍(잠깐 사) > 乍 (丿 삐침 별/5획, 잠깐 사, 일어날 작): 잠깐, 눈깜짝할 사이에... = 𢓓 (彳 두인변, 조금 걸을 척/8획, 지을 작): 作의 고자(古字) = 㑅 (亻 사람인변/7획, 지을 작): 作의 고자(古字) 三 석 삼 sān 싼 一 한 일/3획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二(두 이) = 弎 (弋 주살 익/6획, 석 삼): 三의 고자(古字) = 參 (厶 마늘 모/

三一神誥 삼일신고 한자 7 - 惟衆 迷地 三妄着根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惟衆 迷地 三妄着根 曰心氣身 유중 미지 삼망착근 왈심기신 心依性 有善惡 善福惡禍 심의성 유선악 선복악화 氣依命 有淸濁 淸壽濁妖 기의명 유청탁 청수탁요 身依精 有厚薄 厚貴薄賤 신의정 유후박 후귀박천 惟 헤아릴 유, 어조사 유 wéi 웨이 忄 마음심방변/11획 > 어조사: 다만, 오로지, 그러나, ~로 인해 = 忄(심방변 = 心 마음 심) + 隹(새 추) > 隹 (隹 새 추/8획, 부수자, 새 추): 작은 새 衆 무리 중 zhòng 즈홍(죵) 血 피 혈/12획 = (피 혈) + 乑(나란히 설 음) > 乑 (丿 삐침 별/6획, 나란히 설 음, yín 윈) = 眾 (目 눈 목/11획, 무리 중): 衆의 본자(本字) = 㐺 (亻 사람인변/6획, 무리 중): 衆과 동자(同字) = 众 (人 사람 인/6획, 무리 중): (중)衆의 간체자(簡體字), 독자간체 350자 迷 헤맬 미 mí 미 辶 책받침/10획 > 길을 잃고 헤매다 = 辶(책받침 = 辵 쉬엄쉬엄갈 착) + 米(쌀 미) 地 땅 지 dì 띠 土 흙 토/6획 = 土(흙 토) + 也(잇기 야) (중) 조사 [de 떠]: 동사, 형용사 앞에 붙여 어감을 강조함. 三 석 삼 sān 싼 一 한 일/3획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二(두 이) = 弎 (弋 주살 익/6획, 석 삼): 三의 고자(古字) = 參 (厶 마늘 모/11획, 함께 참, 석 삼) = 参 (厶 마늘 모/8획, 함께 참, 석 삼): 參의 약자(略字) = 叁 (厶 마늘 모/8획, 함께 참, 석 삼): 參의 속자(俗字) > 계약서의 금액 등과 같이 바꾸면 안되는 중요한 수자를 쓸 때는 三자 대신에 參자를 주로 씀 妄 헛될 망 wàng 왕 女 계집 녀/6획 >

三一神誥 삼일신고 한자 6 - 人物 同受三眞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人物 同受三眞 曰性命精 人全之物偏之 인물 동수삼진 왈성명정 인전지물편지 眞性 無善惡 上哲通 진성 무선악 상철통 眞命 無淸濁 中哲知 진명 무청탁 중철지 眞精 無厚薄 下哲保 진정 무후박 하철보 返眞一神 반진일신 人 사람 인 rén 뤤 人 사람 인/2획. 부수자 > 상대자: 物 (牛 소 우/8획, 물건 물) 物 만물 물 wù 우 牛 소 우/8획 > 천지에는 사람과 물건이 있고, 그 가운데서 사람이 아닌 오만가지 물건을 모두 말함 = 牜(= 牛 소 우) + 勿(말 물) > 상대자: 人 (人 사람인/2획, 부수자, 사람 인) 同 한가지 동 tóng 통 口 입 구/6획 > 한가지: 하나의 가지. 같은 가지. 하나의 갈래, 같은 갈래. 무엇의 바탕, 비롯함이 같음 = 凡(무릇 범) + 口(입 구) > 상대자: 異(田 밭 전/11획, 다를 이) = 仝 (人 사람 인/5획, 한가지 동): 同과 동자(同字) 受 받을 수 shòu 스효우(쇼우) 又 또 우/8획 = 爪(손톱 조) + 冖(민갓머리 = 冪 덮을 멱) + 又(또 우) > 상대자: 授(扌 재방변 = 手 손 수/11획, 줄 수) 三 석 삼 sān 싼 一 한 일/3획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二(두 이) = 弎 (弋 주살 익/6획, 석 삼): 三의 고자(古字) = 參 (厶 마늘 모/11획, 함께 참, 석 삼) = 参 (厶 마늘 모/8획, 함께 참, 석 삼): 參의 약자(略字) = 叁 (厶 마늘 모/8획, 함께 참, 석 삼): 參의 속자(俗字) > 계약서의 금액 등과 같이 바꾸면 안되는 중요한 수자를 쓸 때는 三자 대신에 參자를 주로 씀 眞 참 진 zhēn 젼 目 눈 목/10획 > 상대자: 僞 (亻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