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삼일신고

三一神誥 삼일신고 한자 9 - 衆 善惡淸濁厚薄相雜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衆 善惡淸濁厚薄相雜 從境途任走墮生長消病歿苦 중 선악청탁후박상잡 종경도임주타생장소병몰고 哲 止感調息禁觸 一意化行 返妄卽眞 發大神機 性通功完是 철 지감조식금촉 일의화행 반망즉진 발대신기 성통공완시 衆 무리 중 zhòng 즈홍(죵) 血 피 혈/12획 = (피 혈) + 乑(나란히 설 음) > 乑 (丿 삐침 별/6획, 나란히 설 음, yín 윈) = 眾 (目 눈 목/11획, 무리 중): 衆의 본자(本字) = 㐺 (亻 사람인변/6획, 무리 중): 衆과 동자(同字) = 众 (人 사람 인/6획, 무리 중): (중)衆의 간체자(簡體字), 독자간체 350자 善 착할 선 shàn 스햔(샨) 口 입 구/12획 = 羊(양 양) + 䒑(풀 초) + 口(입 구) = 譱 (言 말씀 언/20획, 착할 선): 善의 본자(本字) > 상대자: 惡(心 마음 심/13획, 나쁠 악, 미워할 오) 惡 ① 나쁠 악 è 으 ② 미워할 오 wù 우 心 마음 심/12획 = 亞(버금 아) + 心(마음 심) > 亞 (二 두 이/8획, 버금 아): 버금 = 으뜸 바로 아래 > 상대자: 善 (口 입 구/12획, 착할 선) = 悪 (心 마음 심/11획, 나쁠 악, 미워할 오): 惡의 속자(俗字) = 僫 (亻 사람인변 = 人 사람 인/14획, 나쁠 악, 미워할 오): 惡의 속자(俗字) = 恶 (心 마음 심/10획, 나쁠 악, 미워할 오): (중) 惡의 간체자(簡體字) 淸 맑을 청 qīng 칭 氵 물수변/11획 = 氵(물수변 = 水 물 수) + 靑(푸를 청) > 상대자: 濁 (氵 삼수변/16획, 흐릴 탁) = 清 (氵 물수변 = 水 물 수/11획, 맑을 청): 淸의 속자(俗字) 濁 흐릴 탁 zhuó 쯔후어(쮸어) 氵 삼수변/16획 = 氵(삼수변 = 水 물 수) + 蜀(...

三一神誥 삼일신고 한자 8 - 眞妄對作三途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眞妄對作三途 曰感息觸 轉成十八境 진망대작삼도 왈감식촉 전성십팔경 感 喜懼哀怒貪厭 감 희구애로탐염 息 芬 寒熱震濕 식 분란한열진습 觸 聲色臭味淫抵 촉성색취미음저 眞 참 진 zhēn 젼 目 눈 목/10획 > 상대자: 僞 (亻 사람인변/14획, 거짓 위) = 真 (目 눈 목/10획, 참 진): 眞의 속자(俗字) 妄 헛될 망 wàng 왕 女 계집 녀/6획 > 이치와 진실에 어긋나 헛되다 = 亡(망할 망) + 女(계집 녀) 對 마주 대 duì 뚜웨이 寸 마디 촌/14획 > 마주하다 = 丵(떨기풀 착) + 一(한 일) + 寸(마디 촌) > 丵 (丨 뚫을 곤/10획, 떨기 풀 착 zhuó 쬬어): 叢生艸也 떨기로 나는 풀 (중) <량사> 두개가 짝을 이루는 것을 셈 (중) <형용사> 맞다, 옳다, 정확하다, 정상이다 (중) <개사> ~에 대하여, ~에 대해서 (중) 편방용 132 자 = 対 (寸 마디 촌/7획, 마주 대): 對의 약자(略字) = 对 (寸 마디 촌/5획, 마주 대): 對의 속자(俗字). (중) 對의 간체자(簡體字) 作 지을 작 zuò 쮸어 亻 사람인변/7획 > 짓다: 무엇을 짓다, 만들다 = 亻(사람인변 = 人 사람 인) + 乍(잠깐 사) > 乍 (丿 삐침 별/5획, 잠깐 사, 일어날 작): 잠깐, 눈깜짝할 사이에... = 𢓓 (彳 두인변, 조금 걸을 척/8획, 지을 작): 作의 고자(古字) = 㑅 (亻 사람인변/7획, 지을 작): 作의 고자(古字) 三 석 삼 sān 싼 一 한 일/3획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二(두 이) = 弎 (弋 주살 익/6획, 석 삼): 三의 고자(古字) = 參 (厶 마늘 모/...

三一神誥 삼일신고 한자 7 - 惟衆 迷地 三妄着根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惟衆 迷地 三妄着根 曰心氣身 유중 미지 삼망착근 왈심기신 心依性 有善惡 善福惡禍 심의성 유선악 선복악화 氣依命 有淸濁 淸壽濁妖 기의명 유청탁 청수탁요 身依精 有厚薄 厚貴薄賤 신의정 유후박 후귀박천 惟 헤아릴 유, 어조사 유 wéi 웨이 忄 마음심방변/11획 > 어조사: 다만, 오로지, 그러나, ~로 인해 = 忄(심방변 = 心 마음 심) + 隹(새 추) > 隹 (隹 새 추/8획, 부수자, 새 추): 작은 새 衆 무리 중 zhòng 즈홍(죵) 血 피 혈/12획 = (피 혈) + 乑(나란히 설 음) > 乑 (丿 삐침 별/6획, 나란히 설 음, yín 윈) = 眾 (目 눈 목/11획, 무리 중): 衆의 본자(本字) = 㐺 (亻 사람인변/6획, 무리 중): 衆과 동자(同字) = 众 (人 사람 인/6획, 무리 중): (중)衆의 간체자(簡體字), 독자간체 350자 迷 헤맬 미 mí 미 辶 책받침/10획 > 길을 잃고 헤매다 = 辶(책받침 = 辵 쉬엄쉬엄갈 착) + 米(쌀 미) 地 땅 지 dì 띠 土 흙 토/6획 = 土(흙 토) + 也(잇기 야) (중) 조사 [de 떠]: 동사, 형용사 앞에 붙여 어감을 강조함. 三 석 삼 sān 싼 一 한 일/3획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二(두 이) = 弎 (弋 주살 익/6획, 석 삼): 三의 고자(古字) = 參 (厶 마늘 모/11획, 함께 참, 석 삼) = 参 (厶 마늘 모/8획, 함께 참, 석 삼): 參의 약자(略字) = 叁 (厶 마늘 모/8획, 함께 참, 석 삼): 參의 속자(俗字) > 계약서의 금액 등과 같이 바꾸면 안되는 중요한 수자를 쓸 때는 三자 대신에 參자를 주로 씀 妄 헛될 망 wàng 왕 女 계집 녀/6획 >...

三一神誥 삼일신고 한자 6 - 人物 同受三眞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人物 同受三眞 曰性命精 人全之物偏之 인물 동수삼진 왈성명정 인전지물편지 眞性 無善惡 上哲通 진성 무선악 상철통 眞命 無淸濁 中哲知 진명 무청탁 중철지 眞精 無厚薄 下哲保 진정 무후박 하철보 返眞一神 반진일신 人 사람 인 rén 뤤 人 사람 인/2획. 부수자 > 상대자: 物 (牛 소 우/8획, 물건 물) 物 만물 물 wù 우 牛 소 우/8획 > 천지에는 사람과 물건이 있고, 그 가운데서 사람이 아닌 오만가지 물건을 모두 말함 = 牜(= 牛 소 우) + 勿(말 물) > 상대자: 人 (人 사람인/2획, 부수자, 사람 인) 同 한가지 동 tóng 통 口 입 구/6획 > 한가지: 하나의 가지. 같은 가지. 하나의 갈래, 같은 갈래. 무엇의 바탕, 비롯함이 같음 = 凡(무릇 범) + 口(입 구) > 상대자: 異(田 밭 전/11획, 다를 이) = 仝 (人 사람 인/5획, 한가지 동): 同과 동자(同字) 受 받을 수 shòu 스효우(쇼우) 又 또 우/8획 = 爪(손톱 조) + 冖(민갓머리 = 冪 덮을 멱) + 又(또 우) > 상대자: 授(扌 재방변 = 手 손 수/11획, 줄 수) 三 석 삼 sān 싼 一 한 일/3획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二(두 이) = 弎 (弋 주살 익/6획, 석 삼): 三의 고자(古字) = 參 (厶 마늘 모/11획, 함께 참, 석 삼) = 参 (厶 마늘 모/8획, 함께 참, 석 삼): 參의 약자(略字) = 叁 (厶 마늘 모/8획, 함께 참, 석 삼): 參의 속자(俗字) > 계약서의 금액 등과 같이 바꾸면 안되는 중요한 수자를 쓸 때는 三자 대신에 參자를 주로 씀 眞 참 진 zhēn 젼 目 눈 목/10획 > 상대자: 僞 (亻 사...

三一神誥 삼일신고 한자 5 - 神 呵氣包底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神 呵氣包底 煦日色熱 신 가기포저 후일색렬 行翥化 游栽物繁殖 행저화 유재물번식 神 하늘 신 신 shén 쉬연(션) 示 보일 시/10획 = 示(보일 시) + 申(아홉째 지지 신) > 申(田 밭 전/5획, 아홉째 지지 신 shēn 션) > 神 天神 引出萬物者也(說文): 신은 하늘 신을 말하며, 만물을 만드신 분이다. > 상제(上帝): 우주만물을 만드시고 주재하는 절대적 신 呵 ① 불 가 hē 허 ② 꾸짖을 가 hē 허 口 입 구/8획 > 불다: '하아'하고 입깁을 불어 내다. 하아 하고 불어 입김을 쏘이다. = 口(입 구) + 可(옳을 가) = 訶 (言 말씀 언/12획, 꾸짖을 가): 呵와 동자(同字) = 㱒 (止 그칠 지/9획, 꾸짖을 가): 訶의 고자(古字) = 诃 (讠 말씀 언/7획, 꾸짖을 가): (중) 訶의 간체자(簡體字) 氣 기운 기 qì 치 气 기운기엄/10획 = 气(기운기엄) + 米(쌀미) = 𣱛 (气 기운기엄/8획, 기운 기): 氣의 고자(古字) = 気 (气 기운기엄/6획, 기운 기): 氣의 약자(略字) = 𣱖 (气 기운기엄/6획, 기운 기): 氣의 속자(俗字) = 气 (기운기엄/4획, 부수자) = 氣(기운 기), (중) 氣의 간체자, 편방용 132 = 炁 (灬 연화발 = 火 불 화/ 8획, 기운 기, 보낼 희): 氣와 동자(同字) 包 쌀 포 bāo 빠오 勹 쌀포몸/5획 = 勹 (쌀포몸 = 勹 쌀 포) + 巳(뱀 사) = 勹 (勹 쌀포몸/2획, 부수자, 쌀 포): 包의 본자(本字) = 苞 (艹 풀초머리 = 草 풀 초/9획, 그령 포, 쌀 포): 包와 통자(通字) 底 밑 저 dǐ 띠이 广 엄호/8획 = 广(엄호 = 廣 넓을 광) + 氐(뿌리 저) > 氐 (氏 씨 씨/4획, 뿌리...

三一神誥 삼일신고 한자 4 - 爾觀 森列星辰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爾觀 森列星辰 數無盡 大小明暗苦樂不同 이관 삼렬성신 수무진 대소명암고락부동 神勅 日世界使者 舝七百世界 신칙 일세계사자 할칠백세계 爾 地自大 一丸世界 이 지자대 일환세계 中火震蕩 海幻陸遷 乃成見像 중화진탕 해환륙천 내성현상 爾 너 이, 어조사 이 ěr 어얼 爻 점괘 효/14획 = 一(한 일) + 八(여덟 팔) + 冂(멀 경) + 丨(뚫을 곤) + 爻(점괘 효) + 爻(점괘 효) = 尓 (小 작을 소/5획, 너 이): 爾와 동자(同字) = 尒 (小 작을 소/5획, 너 이): 爾와 동자(同字) = 尔 (小 작을 소/5획, 너 이): 爾의 속자(俗字). (중) 爾의 간체자(簡體字), 편방용 132자 = 厼 (厶 마늘 모/5획, 너 이, 구결자 며): 爾와 동자(同字) > 상대자: 我(戈 창 과/7획, 나 아) 觀 볼 관 guān 꾸안(꽌) 見 볼 견/25획 > 자세히 살펴 보다 = 雚(황새 관) + 見(볼 견) > 雚(隹 새 추/18획, 황새 관, 옛글자) = 鸛(鳥 새 조/29획, 황새 관) = 覌 (見 볼 견/9획): 觀의 속자(俗字) = 观 (见 볼 견/6획): (중) 觀의 간체자(簡體字) = 観 (見 볼 견/18획, 볼 관): 일본식 약자 森 빽빽할 삼 sēn 썬 木 나무 목/12획 = 木(나무 목) + 木(나무 목) + 木(나무 목) = 木(나무 목) + 林(수풀 림) 列 벌일 렬 liè 리예 刂 선칼도방/6획 > 벌이다: 일, 사람, 물건을 죽 늘어 놓다 = 歹(죽을 사 변 = 死 죽을 사) + 刂(선 칼도 방 = 刀 칼 도) > 歹(죽을 사 변) = 歺(歹 죽을 사 변/5획, 살 바른 뼈 알) 星 별 성 xīng 싱 日 날 일/9획 = 日(날 일) + 生(날 생) = 㽮 (田 밭 전/20획, 별 성)...

三一神誥 삼일신고 한자 3 - 神在 無上一位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神在 無上一位 신재 무상일위 有 大德 大慧 大力 유 대덕 대혜 대력 生天 主無數世界 造兟兟物 생천 주무수세계 조신신물 纖塵無漏 昭昭靈靈 不敢名量 섬진무루 소소령령 불감명량 聲氣願禱 絶親見 自性求子 降在爾腦 성기원도 절친견 자성구자 강재이뇌 神 하늘 신 신 shén 쉬연(션) 示 보일 시/10획 = 示(보일 시) + 申(아홉째 지지 신) > 申(田 밭 전/5획, 아홉째 지지 신 shēn 션) > 神 天神 引出萬物者也(說文): 신은 하늘 신을 말하며, 만물을 만드신 분이다. > 상제(上帝): 우주만물을 만드시고 주재하는 절대적 신 在 있을 재 zài 쨔이 土 흙 토/6획 > 있다 없다의 있다 = 才(재주 재) + 土(흙 토) = 扗(扌 재방변/6획): 在의 본자(本字) 無 없을 무 mó 모어 灬 연화 발/12획 > 灬 (연화 발 = 火(불 화) > 상대자: 有(月 달 월/6획 , 있을 유) = 无 (无 이미기방/4획, 없을 무): 無의 고자(古字). (중) 無의 간체자, 편방용 132자. 上 위 상 shàng 쉬양(샹) 一 한 일/3획 > 위 > 오르다 > 시간을 위에서 아래로 나열하고, 위로 거슬러 올라가면 > 시간적으로는 앞선, 지나간 시간. = 丄(위 상) + 丶(점 주) = 丄 (一 한 일/2획, 위 상): 上의 고자(古字) > 상대자: 下(一 한 일/3획, 아래 하) 一 한 일 yī 이 一 한 일/1획. 부수자 > '하나'는 낱낱을 이르기도 하지만, 낱낱을 모두 아울러 '하나' 곧 '온통'이라는 말이기도 합니다. 나누어 지면 낱낱이고, 모여 아우러지면 하나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낱낱과 하나는 같은 것입니다. 位 자리 위...

三一神誥 삼일신고 한자 2 - 天神國 有天宮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天神國 有天宮 階萬善 門萬德 천신국 유천궁 계만선 문만덕 一神攸居 群靈諸哲護侍 大吉祥大光明處 일신유거 군령제철호시 대길상대광명처 惟 性通功完者 朝永得快樂 유 성통공완자 조영득쾌락 天 하늘 천 tiān 티옌 大 큰 대/4획 = 大(큰 대) + 一(한 일) 神 하늘 신 신 shén 쉬연(션) 示 보일 시/10획 = 示(보일 시) + 申(아홉째 지지 신) > 申(田 밭 전/5획, 아홉째 지지 신 shēn 션) > 神 天神 引出萬物者也(說文): 신은 하늘 신을 말하며, 만물을 만드신 분이다. > 상제(上帝): 우주만물을 만드시고 주재하는 절대적 신 國 나라 국 guó 구어(궈) 囗 큰 입 구/11획 = 口(큰 입 구 = 에운담몸) + 或(혹시 혹) > 에울러 담장을 쳤지만 애매한 것이 나라이다 > 口 (에운 담): 에워 싼 담장 = 囶 (口 큰 입 구/8획): 國의 고자(古字) = 圀 (口 큰 입 구/9획): 國의 고자(古字) = 囗 (口 큰 입 구/3획): 國의 고자(古字), 圍의 고자(古字) = 囯 (口 큰 입 구/7획): 國의 속자(俗字) = 国 (口 큰 입 구/8획): 國의 속자(俗字), (중) 國의 간체자(簡體字), 편방용 132자 = 䆐(禾 벼 화/30획): 國의 고자(古字) 有 있을 유 yǒu 요우 月 달 월/6획 = 又(또 우) + 月(달 월) > 상대자: 無(灬 연화발 = 火 불 화, 없을 무) 宮 집 궁 gōng 꽁 宀 갓머리/10획 = 宀(갓머리 = 집 면) + 呂(음률 려) = 宫 (宀 갓머리/9획, 집 궁): (중) 宮의 간체자(簡體字) 階 섬돌 계 jiē 찌예 阝 좌부방/12획 > 섬돌: 뜰과 뜨락을 오르내리는 돌로 만든 층계 = 阝(좌부방 = 阜 언덕 부) + 皆(다 개)...

三一神誥 삼일신고 한자 1 - 帝曰爾五加衆蒼蒼非天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삼일신고 한자를 모두 한 쪽에 올리기에는 량이 많아 9 쪽으로 나누었읍니다. 쪽을 나눈 이유는 단지 그 뿐입니다. 三一神誥 삼일신고 帝曰 爾 五加 衆 제왈 이 오가 중 蒼蒼非天 玄玄非天 창창비천 현현비천 天 無形質 無端倪 無上下四方 虛虛空空 천 무형질 무단예 무상하사방 허허공공 無不在 無不容 무부재 무불용 三 석 삼 sān 싼 一 한 일/3획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一(한 일) + 二(두 이) = 弎 (弋 주살 익/6획, 석 삼): 三의 고자(古字) = 參 (厶 마늘 모/11획, 함께 참, 석 삼) = 参 (厶 마늘 모/8획, 함께 참, 석 삼): 參의 약자(略字) = 叁 (厶 마늘 모/8획, 함께 참, 석 삼): 參의 속자(俗字) > 계약서의 금액 등과 같이 바꾸면 안되는 중요한 수자를 쓸 때는 三자 대신에 參자를 주로 씁니다. 一 한 일 yī 이 一 한 일/1획. 부수자 > '하나'는 낱낱을 이르기도 하지만, 낱낱을 모두 아울러 '하나' 곧 '온통'이라는 말이기도 합니다. 나누어 지면 낱낱이고, 모여 아우러지면 하나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낱낱과 하나는 같은 것입니다. 神 하늘 신 신 shén 쉬연(션) 示 보일 시/10획 = 示(보일 시) + 申(아홉째 지지 신) > 申(田 밭 전/5획, 아홉째 지지 신 shēn 션) > 神 天神 引出萬物者也(說文): 신은 하늘 신을 말하며, 만물을 만드신 분이다. > 상제(上帝): 우주만물을 만드시고 주재하는 절대적 신 誥 알릴 고 gào 까오 言 말씀 언/14획 > 깨우쳐 알려 주다. 일깨우다 = 言(말씀 언) + 告(아뢸 고) = 诰 (讠말씀 언/9획, 알릴 고): (중) 誥의 간체자 > 誥는 옛날 ...

삼일신고 三一神誥 하늘 땅 사람 - 천지인 天地人

Image
천부경 삼일신고 帝曰爾 天神國 神在無 爾觀森 神呵氣 人物同 惟衆迷 眞妄對 衆善惡 三一神誥 帝曰爾五加衆蒼蒼非天玄玄非天天無形質無端倪無上下四方虛虛空空無不在無不容 天神國有天宮階萬善門萬德一神攸居群靈諸哲護侍大吉祥大光明處惟性通功完者朝永得快樂 神在無上一位有大德大慧大力生天主無數世界造兟兟物纖塵無漏昭昭靈靈不敢名量聲氣願禱絶親見自性求子降在爾腦 爾觀森列星辰數無盡大小明暗苦樂不同神勅日世界使者舝七百世界爾地自大一丸世界中火震蕩海幻陸遷乃成見像 神呵氣包底煦日色熱行翥化游栽物繁殖 人物同受三眞曰性命精人全之物偏之眞性無善惡上哲通眞命無淸濁中哲知眞精無厚薄下哲保返眞一神 惟衆迷地三妄着根曰心氣身心依性有善惡善福惡禍氣依命有淸濁淸壽濁妖身依精有厚薄厚貴薄賤 眞妄對作三途曰感息觸轉成十八境感喜懼哀怒貪厭息芬 寒熱震濕觸聲色臭味淫抵 衆善惡淸濁厚薄相雜從境途任走墮生長消病歿苦 哲止感調息禁觸一意化行返妄卽眞發大神機性通功完是 三一神誥 삼일신고 帝曰 爾 五加 衆 제왈 이 오가 중 蒼蒼非天 玄玄非天 창창비천 현현비천 天 無形質 無端倪 無上下四方 虛虛空空 천 무형질 무단예 무상하사방 허허공공 無不在 無不容 무부재 무불용 天神國 有天宮 階萬善 門萬德 천신국 유천궁 계만선 문만덕 一神攸居 群靈諸哲護侍 大吉祥大光明處 일신유거 군령제철호시 대길상대광명처 惟 性通功完者 朝永得快樂 유 성통공완자 조영득쾌락 神在 無上一位 신재 무상일위 有 大德 大慧 大力 유 대덕 대혜 대력 生天 主無數世界 造兟兟物 생천 주무수세계 조신신물 纖塵無漏 昭昭靈靈 不敢名量 섬진무루 소소령령 불감명량 聲氣願禱 絶親見 自性求子 降在爾腦 성기원도 절친견 자성구자 강재이뇌 爾觀 森列星辰 數無盡 大小明暗苦樂不同 이관 삼렬성신 수무진 대소명암고락부동 神勅 日世界使者 舝七百世界 신칙 일세계사자 할칠백세계 爾 地自大 一丸世界 이 지자대 일환세계 中火震蕩 海幻陸遷 乃成見像 중화진탕 해환륙천 내성현상 神 呵氣包底 煦日色熱 신 가기포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