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한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9/9 - 하
아래는 독자 간체자 350자의 번체자 / 간체자 (繁體字 / 簡體字) 정리표 (가나다 순) 9쪽입니다. 총 9페이지 입니다.
虫 벌레 훼/15획
= 虫(벌레 훼) + 叚(빌 가)
> 叚 (又 또 우/9획): 빌리다
(중) 새우, 독자간체 350
口입구/17
= 口(입 구) + 赫(빛날 혁)
독자간체350, 5급
疒병질엄/15
> 학질(瘧疾): 열대지방의 학질 모기를 통해 옮기는 전염병. 말라리아(malaria)
= 疒(병질엄 = 疾 병 질) + 虐(모질 학) 독자간체350
氵물수변/14
= 물수(水) + 어려울난(難)
독자간체 350. 1급.
舟배주/20
= 舟(배 주) + 監(볼 감)
독자간체350, 6급
鹵짠땅로/20
= 鹵(짠 땅 로) + 咸(다 함)
> 咸(口 입 구/9획): 다, 모두
醎(속, 酉닭유/16), 독자간체350
門문문/14
= 門(문 문) + 合(모을 합)
독자간체350
骨 뼈 골/13획
= 骨(뼈 골) + 亢(높을 항)
독자간체 350
音소리음/22
= 鄕(시골 향) + 音(소리 음)
響(약, 音/19), 독자간체350, 3급
口입구/19
= 鄕(시골 향) + 向(향할 향)
독자간체350
心마음심/16
뜻> 높아 본보기가 되는 것 > 가장 높은 법 헌
독자간체350, 6급
頁머리혈/23
= 㬎(나타날 현) + 頁(머리 혈)
> 㬎(日 날 일/14획): 顯의 고자(古字)
顕(약, 頁/18) 㫫(속, 日/10)
독자간체 350, 5급
糸실사/16
県(약, 目/9), 독자간체350, 5급
心마음심/20
= 縣(매달 현) + 心(마음 심)
독자간체350, 6급
十열십/8
= 十(열 십) + 劦(힘 합할 협)
恊(동, 忄/9) 旪(동, 日/6), 독자간체350, 6급
月육달월/10
= 劦(힘 합할 협) + 月(육달월 = 育 고기 육)
> 겨드랑이를 으쓱 대며 으르렁거리다 > 위협하다
脇(동, 月/10) 䏩(동, 月/10), 독자간체350, 5급
虍 범호엄/13
= 号(부를 호) + 虎(범 호)
䝞(동, 豸갖은돼지시변/15) 譹(동, 言/21). 독자간체 350, 1급.
髟터럭발머리/19
= 髟(머리털 늘어질 표) + 胡(오랑캐 호)
독자간체 350, 6급
士선비사/12
> 술 물 따위를 담는 병
壷(동, 士/11), 독자간체350, 5급
氵삼수변/14획
= 氵(삼수변 = 水 물 수) + 扈(따를 호)
> 황포강(黃浦江): 송강(松江)의 하류로서, 강소성 상해현을 흐르는 황포강을 말함
독자간체 350
言말씀언/21
= 言(말씀 언) + 蒦(자 확)
>蒦(艹 초두/14획): 길이를 재는 자
독자간체350, 3급
禾벼화/19
= 禾(벼 화) + 蒦(자 확)
독자간체350
石돌석/15
= 石(돌 석) + 隺(높을 학)
> 隺(隹 새 추/10획): 鶴(학 학, 鳥 새 조/21획)의 엣 글자 > 높이 날아 오르다
독자간체 350, 4급
欠 하품흠/22
= 황새관(雚) + 하품흠(欠) > 입을 크게 벌리고 음식을 먹으며 기뻐하다.
歓(속, 欠/15) 欢(약, 欠/6)
독자간체350. 1급.
王구슬옥변/17
= 王(구슬 옥 변 = 玉 구슬 옥) + 睘(놀라서 볼 경)
독자간체350, 3급
忄마음심방/19
= 忄(마음심방 = 心 마음 심) + 褱(품을 회)
褱(고, 衣/16) 懐(속, 忄/16) 怀(속, 忄/7)
독자간체350, 4급
辶 책받침/10획
= 辶 책받침 = 辵 쉬엄쉬엄 갈 착) + 回(돌 회)
독자간체 350, HSK 1급
刂선칼도방/14
= 畫(그림 화) + 刂(칼도방, 선 칼 도 = 刀 칼 도) > 연필, 칼 따위로 줄(금)을 긋다 > 무엇을 꾀하다
(중) 물을 헤치다(노를 젓다). 독자간체350. 4급.
犭개사슴록변/17
= 犭(개사슴 록 변 = 犬 개 견) + 蒦(자 확)
독자간체350, 4급
彳자촉걸음 척(두인변)/9
= 彳(자촉걸음 척, 두인변) + 幺(작을 요) + 夂(뒤져올 치) > 뒤져서 따라 오다 > 뒤
> 반대자는 前(앞전, 刂/9)
독자간체 350. 1급
虍범호엄/17
= 雐(새 이름 호) + 亐(= 于 어조사 우)
= 虍(범호엄 = 虎 범 호) + 隹(새 추) + 亐(= 于 어조사 우)
독자간체350, 5급
酉닭유/25
독자간체, 6급
臼절구구/16
> 일어나 흥하다
= 舁(맞들 여) + 同(한가지 동)
> 舁(臼 절구 구/9획): 마주 들다. 맞 들다
㒷(약, 八여덟팔/7)
독자간체350, 1급
牛소우/20
=牜 소우변 = 牛소 우) + 羲(복희 희)
犠(약, 牛/17)
> 희생: 제사에 제물로 쓰이는 온 마리 소
독자간체350, 6급
戈창과/17
= 䖒(그릇 희) + 戈(창 과)
> 䖒(虍(범호엄/13획): 도기 그릇 희 xī 시이
戯(속, 戈/15) 戱(속, 戈/16)
독자간체350, 3급
간체자(簡體字) 또는 간화자(簡化字)는 중국에서 만든 것이고, 중국에서만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본래의 한자에서 필 획을 줄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를 이르는 말이고, 이에 대응하여 본래의 글자를 번체자(繁體字) 또는 정체자(正體字)라고 부릅니다.
중국 국무원(國務院) 문자개혁위원회에서 1956년 한자간소화방안(漢字簡素化方案)을 공포하고, 1964년 총 2,238자의 간체자를 만들어 공포하였고, 1986년 국무원 국가언어문자공작위원회에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를 통하여 총 2,235자의 간체자를 공표하였습니다.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는 세 개의 표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글자의 편방(偏旁)으로 쓰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쓰는 독자 간체자 (獨自簡體字) 350자, 다른 글자 옆에 붙여 쓰기도 하는 편방(偏旁) 간체자 132자, 다른 글자의 편방으로만 쓰이고 독자적으로는 쓰지 않는 간화편방(簡化偏旁) 14자가 실려 있습니다. 그 밖에 이체자 39자가 있습니다. 지금 쓰이는 간체자는 총 2,249자입니다.
한자는 다른 한자를 서로 붙여서 만든 글자가 많고, 그러한 측면에서 보면 실제 간체자는 간화편방 14자, 편방용 간체 132자 그리고 독자간체 350자 등 500 여자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蝦/虾
두꺼비 하 xiā 시야(샤)虫 벌레 훼/15획
= 虫(벌레 훼) + 叚(빌 가)
> 叚 (又 또 우/9획): 빌리다
(중) 새우, 독자간체 350
嚇/吓
으를 하 hè 허, 성낼 혁 xià 시야口입구/17
= 口(입 구) + 赫(빛날 혁)
독자간체350, 5급
瘧/疟
학질 학 nüè 뉘예疒병질엄/15
> 학질(瘧疾): 열대지방의 학질 모기를 통해 옮기는 전염병. 말라리아(malaria)
= 疒(병질엄 = 疾 병 질) + 虐(모질 학) 독자간체350
漢/汉
한수(漢水) 한 Hàn 한氵물수변/14
= 물수(水) + 어려울난(難)
독자간체 350. 1급.
艦/舰
싸움배 함 jiàn 지옌舟배주/20
= 舟(배 주) + 監(볼 감)
독자간체350, 6급
鹹/咸
짤 함 xián 시옌鹵짠땅로/20
= 鹵(짠 땅 로) + 咸(다 함)
> 咸(口 입 구/9획): 다, 모두
醎(속, 酉닭유/16), 독자간체350
閤/合
쪽문 합 gé 거어門문문/14
= 門(문 문) + 合(모을 합)
독자간체350
骯/肮
살찔 항 āng 앙骨 뼈 골/13획
= 骨(뼈 골) + 亢(높을 항)
독자간체 350
響/响
울림 향 xiǎng 시양音소리음/22
= 鄕(시골 향) + 音(소리 음)
響(약, 音/19), 독자간체350, 3급
嚮/向
향할 향 xiàng 시양口입구/19
= 鄕(시골 향) + 向(향할 향)
독자간체350
憲/宪
법 헌 xiàn 시옌心마음심/16
뜻> 높아 본보기가 되는 것 > 가장 높은 법 헌
독자간체350, 6급
顯/显
나타날 현 xiǎn 시옌頁머리혈/23
= 㬎(나타날 현) + 頁(머리 혈)
> 㬎(日 날 일/14획): 顯의 고자(古字)
顕(약, 頁/18) 㫫(속, 日/10)
독자간체 350, 5급
縣/县
매달 현, 고을 현 xiàn 시옌糸실사/16
県(약, 目/9), 독자간체350, 5급
懸/悬
매달 현 xuán 수이옌(쉬옌)心마음심/20
= 縣(매달 현) + 心(마음 심)
독자간체350, 6급
協/协
힘 합할 협 xié 시예十열십/8
= 十(열 십) + 劦(힘 합할 협)
恊(동, 忄/9) 旪(동, 日/6), 독자간체350, 6급
脅/胁
겨드랑이 협 xié 시예月육달월/10
= 劦(힘 합할 협) + 月(육달월 = 育 고기 육)
> 겨드랑이를 으쓱 대며 으르렁거리다 > 위협하다
脇(동, 月/10) 䏩(동, 月/10), 독자간체350, 5급
號/号
부를 호 hào 하오虍 범호엄/13
= 号(부를 호) + 虎(범 호)
䝞(동, 豸갖은돼지시변/15) 譹(동, 言/21). 독자간체 350, 1급.
鬍/胡
수염 호 hú 후우髟터럭발머리/19
= 髟(머리털 늘어질 표) + 胡(오랑캐 호)
독자간체 350, 6급
壺/壶
병 호 hú 후士선비사/12
> 술 물 따위를 담는 병
壷(동, 士/11), 독자간체350, 5급
滬/沪
강이름 호 Hù 후氵삼수변/14획
= 氵(삼수변 = 水 물 수) + 扈(따를 호)
> 황포강(黃浦江): 송강(松江)의 하류로서, 강소성 상해현을 흐르는 황포강을 말함
독자간체 350
護/护
감쌀 호 hù 후言말씀언/21
= 言(말씀 언) + 蒦(자 확)
>蒦(艹 초두/14획): 길이를 재는 자
독자간체350, 3급
穫/获
거둘 확 huò 후어禾벼화/19
= 禾(벼 화) + 蒦(자 확)
독자간체350
確/确
굳을 확 què 취예石돌석/15
= 石(돌 석) + 隺(높을 학)
> 隺(隹 새 추/10획): 鶴(학 학, 鳥 새 조/21획)의 엣 글자 > 높이 날아 오르다
독자간체 350, 4급
歡/欢
기뻐할 환 huān 후안(환)欠 하품흠/22
= 황새관(雚) + 하품흠(欠) > 입을 크게 벌리고 음식을 먹으며 기뻐하다.
歓(속, 欠/15) 欢(약, 欠/6)
독자간체350. 1급.
環/环
고리 환 huán 후안(환)王구슬옥변/17
= 王(구슬 옥 변 = 玉 구슬 옥) + 睘(놀라서 볼 경)
독자간체350, 3급
懷/怀
품을 회 huái 후와이(화이)忄마음심방/19
= 忄(마음심방 = 心 마음 심) + 褱(품을 회)
褱(고, 衣/16) 懐(속, 忄/16) 怀(속, 忄/7)
독자간체350, 4급
迴/回
돌 회 huí 후웨이 (훼이)辶 책받침/10획
= 辶 책받침 = 辵 쉬엄쉬엄 갈 착) + 回(돌 회)
독자간체 350, HSK 1급
劃/划
그을 획 huá 후아(화)刂선칼도방/14
= 畫(그림 화) + 刂(칼도방, 선 칼 도 = 刀 칼 도) > 연필, 칼 따위로 줄(금)을 긋다 > 무엇을 꾀하다
(중) 물을 헤치다(노를 젓다). 독자간체350. 4급.
獲/获
얻을 획 huò 후어犭개사슴록변/17
= 犭(개사슴 록 변 = 犬 개 견) + 蒦(자 확)
독자간체350, 4급
後/后
뒤 후 hòu 호우彳자촉걸음 척(두인변)/9
= 彳(자촉걸음 척, 두인변) + 幺(작을 요) + 夂(뒤져올 치) > 뒤져서 따라 오다 > 뒤
> 반대자는 前(앞전, 刂/9)
독자간체 350. 1급
虧/亏
이지러질 휴 kuī 쿠웨이虍범호엄/17
= 雐(새 이름 호) + 亐(= 于 어조사 우)
= 虍(범호엄 = 虎 범 호) + 隹(새 추) + 亐(= 于 어조사 우)
독자간체350, 5급
釁/衅
피바를 흔, 틈 흔 xìn 신酉닭유/25
독자간체, 6급
興/兴
일 흥 xīng 싱臼절구구/16
> 일어나 흥하다
= 舁(맞들 여) + 同(한가지 동)
> 舁(臼 절구 구/9획): 마주 들다. 맞 들다
㒷(약, 八여덟팔/7)
독자간체350, 1급
犧/牺
희생 희 xī 시牛소우/20
=牜 소우변 = 牛소 우) + 羲(복희 희)
犠(약, 牛/17)
> 희생: 제사에 제물로 쓰이는 온 마리 소
독자간체350, 6급
戲/戏
놀 희 xì 시戈창과/17
= 䖒(그릇 희) + 戈(창 과)
> 䖒(虍(범호엄/13획): 도기 그릇 희 xī 시이
戯(속, 戈/15) 戱(속, 戈/16)
독자간체350, 3급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1/9 - 가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2/9 - 나다라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3/9 - 마바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4/9 - 사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5/9 - 아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6/9 - 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7/9 - 차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8/9 - 카타파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9/9 - 하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간화편방 簡化偏旁 14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1/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2/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3/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1/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2/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3/3
중국어 발음 기호 자모표 (병음 기호)
중국 4 행정계층 및 성도, 수도 목록: 23(22)성(省) 5자치구(自治區) 4직할시(直轄市) 2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2/9 - 나다라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3/9 - 마바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4/9 - 사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5/9 - 아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6/9 - 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7/9 - 차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8/9 - 카타파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9/9 - 하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간화편방 簡化偏旁 14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1/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2/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3/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1/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2/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3/3
중국어 발음 기호 자모표 (병음 기호)
중국 4 행정계층 및 성도, 수도 목록: 23(22)성(省) 5자치구(自治區) 4직할시(直轄市) 2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간체자(簡體字) 또는 간화자(簡化字)는 중국에서 만든 것이고, 중국에서만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본래의 한자에서 필 획을 줄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를 이르는 말이고, 이에 대응하여 본래의 글자를 번체자(繁體字) 또는 정체자(正體字)라고 부릅니다.
중국 국무원(國務院) 문자개혁위원회에서 1956년 한자간소화방안(漢字簡素化方案)을 공포하고, 1964년 총 2,238자의 간체자를 만들어 공포하였고, 1986년 국무원 국가언어문자공작위원회에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를 통하여 총 2,235자의 간체자를 공표하였습니다.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는 세 개의 표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글자의 편방(偏旁)으로 쓰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쓰는 독자 간체자 (獨自簡體字) 350자, 다른 글자 옆에 붙여 쓰기도 하는 편방(偏旁) 간체자 132자, 다른 글자의 편방으로만 쓰이고 독자적으로는 쓰지 않는 간화편방(簡化偏旁) 14자가 실려 있습니다. 그 밖에 이체자 39자가 있습니다. 지금 쓰이는 간체자는 총 2,249자입니다.
한자는 다른 한자를 서로 붙여서 만든 글자가 많고, 그러한 측면에서 보면 실제 간체자는 간화편방 14자, 편방용 간체 132자 그리고 독자간체 350자 등 500 여자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