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한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5/9 - 아
아래는 독자 간체자 350자의 번체자 / 간체자 (繁體字 / 簡體字) 정리표 (가나다 순) 5쪽입니다. 총 9페이지 입니다.
儿 어진사람인발/8
= 절구구(臼) + 사람인발(儿=人). 반대자는 親(어버이친).
児(약, 儿/7) 郳(중어, 이체).
[중어, 접미사] 낱말 뒤에 붙여 다앙햐게 쓰임. 독자간체 350, 1급.
土흙토/17
= 싫어할 염(厭) + 흙 토(土)
圧(약, 土/5), 독자간체350, 4급
石돌석/19
= 돌 석(石) + 못 믿을 의(疑)
㝵(동, 寸/8) 碍(속, 石/13), 독자간체350, 5급
父아비부/13
= 아비 부(父) + 어조사 야(耶)
독자간체350, 3급
艹풀초머리/19
薬(약, 艹/17)
= 풀 초(草 = 艹풀초머리, 초두) + 노래 악(樂) > 아픈 사람이 먹으면 즐거움을 찾는 풀
독자간체350, 2급
足 발족/21획
= 발 족(足) + 꿩 적(翟)
躍(약, 足/21), 독자간체 350, 5급
金쇠금/25
= 쇠 금(金) + 피리 약(龠)
독자간체350, 4급
酉닭유/24
= 닭 유(酉 = 酒술주) + 도울 양(襄)
醸(약, 酉/20), 독자간체350, 6급
言말씀언/24
= 말씀 언(言) + 도울 양(襄)
譲(약, 言/20) 誏(중어, 이체), 독자간체 350, 2급
阝언덕부/12
= 언덕 부 (좌부변 阝=阜) + 볕 양, 쉬울 이(昜)
昜(동, 日/9) 阳(동, 阝/7) 阦(속, 阝/7)
(중어) 昜는 편방자 14자, 독자간체 350, 3급
食밥식/15
= 양 양(羊) + 밥 식(食) > 양에게 밥을 주어 기르다
독자간체350, 4급
疒병질엄/20
= 병 질(疾 = 疒병질엄) + 기를 양(養)
독자간체 350, 5급
木 나무목/15
= 나무목(木) + 강이길양(羕)
様(약, 木/14)
[중어, 량사] 가지, 종류. 독자간체350. 1급.
示보일시/16
= 거느릴 어(御) + 보일 시(示)
독자간체 350, 6급
亻사람인변/15
= 사람 인(人 = 亻사람인변) + 뜻 의(意)
독자간체 350, 5급
忄마음심방/16
= 마음 심(心 = 忄심방) + 뜻 의(意)
독자간체350, 4급
飠밥식변/16획
= 밥 식(食 = 飠밥식변) + 나 여(余)
독자간체 350
氵물수변/12
= 물 수(水 = 氵삼수변) + 못 연(𣶒)
囦(고, 口에운담몸(큰입구)/7) 𣴺(동) 渁(동, 氵/11) 渊(속,氵 /11), 독자간체350
灬 불화발(연화발)/15.
= 재주예(埶) + 불화(灬=火)
독자간체 350, 1급.
鹵소금로/24
= 볼 감(監) + 소금 로(鹵)
塩(속, 土/13) 圤(중어, 이체자), 4급
艹풀초머리/13
= 풀 초(草 = 艹풀초머리, 초두) + 잎사귀 엽(枼)
독자간체350, 4급
言말씀언/21
= 더불어 여(與) + 말씀 언(言)
誉(약, 言/13) 𣁎(속), 독자간체 350, 6급
衤옷의변/17획
= 옷 의(衣 = 衤옷의변) + 깊을 오(奧)
독자간체 350
禾벼화/19
= 벼 화(禾) + 삼갈 은(㥯) >곡식을 거두어 들이는 안정되고 좋은 상태
독자간체350, 5급
酉닭유/17
= 닭 유(酉 = 酒술주) + 어질 온(昷)
독자간체 350, 6급
扌손수변/16
= 손 수(手 = 扌재방변) + 사이 좋을 옹(雍)
𢹬(본) 𢶜(동), 독자간체350, 5급
疒병질엄/23획
= 병 질(疾 = 疒병질엄) + 누그러질 옹(雝)
독자간체 350
穴 구멍 혈/14획
= 구멍 혈(穴) + 물 수(水 = 氵삼수변) + 홀 규(圭)
독자간체 350
扌손수변/18
= 손 수(手 = 扌재방변) + 근심 우(憂)
독자간체350, 4급
亻사람인변/13
= 사람 인(人= 亻사람인변) + 쓸 용(庸 > 품: 일하는데 드는 힘(노동력)
독자간체 350, 6급
足발족/14
= 발 족(足) + 날랠 용(勇)
踊(통, 足/14) 踴(속, 足/16), 독자간체350
心마음심/15
= 근심 우(㥑) + 뒤져올 치(夂) > 머리가 무겁고 마음을 끓임
㥑(통, 心/12), 독자간체350, 6급
亻사람인변/17
= 사람 인(人= 亻사람인변) + 애탈 우(憂)
독자간체350, 4급
阝고을읍(우부방)/11
= 드리울 수(垂) + 고을 읍(邑 = 阝우부방)
역참: 공무로 이동하는 관리에게 숙식과 말을 제공하는 집, 독자간체 350, 3급
辶쉬엄쉬엄갈착/13
= 쉬엄쉬엄 갈 착(辵 = 辶책받침) + 군사 군(軍)
독자간체 350, 2급
鬯울창주창/29
= 수풀 림(林) + 장군 부(缶) + 울창주 창(鬯) + 터럭 삼(彡)
欝(속, 木/26) 鬰(중어, 이체자) , 독자간체350, 6급
口 에운담몸(큰입구)/13
= 에운담몸(口) + 옷이길원(袁)
薗(동, 艹풀초머리/17). 독자간체350. 3급.
辶쉬엄쉬엄갈착(책받침)/14
= 쉬엄쉬엄 갈 착(辵 = 辶책받침) + 치렁치렁할 원(袁)
> 가까울근(近)의 반대자, 독자간체350, 2급
頁머리혈/19
= 언덕 원(原) + 머리 혈(頁)
독자간체350, 5급
行갈행/15
= 갈 행(行) + 에워쌀 위(韋)
衞의 속자. 衞(본, 行/16), 독자간체 350, 4급
竹대죽/32
= 대 죽(竹) + 부를 유(龥)
독자간체350, 6급
心 마음심/17
= 매응(䧹) + 마음심(心)
. 譍(동, 言/20) 応(약, 心/7). 독자간체350. 3급.
扌손수변/17
= 손 수(手 = 扌재방변) + 못 믿을 의(疑)
독자간체350, 6급
酉닭유/18
= 앓는 소리 예(殹) + 닭 유(酉 = 酒술주)
毉(동, 殳/18) 医(약, 匸감출혜몸/7), 독자간체 350, 1급
言말씀언/14
= 말씀언(言) + 참을인(忍)
독자간체 350, 1급
간체자(簡體字) 또는 간화자(簡化字)는 중국에서 만든 것이고, 중국에서만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본래의 한자에서 필 획을 줄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를 이르는 말이고, 이에 대응하여 본래의 글자를 번체자(繁體字) 또는 정체자(正體字)라고 부릅니다.
중국 국무원(國務院) 문자개혁위원회에서 1956년 한자간소화방안(漢字簡素化方案)을 공포하고, 1964년 총 2,238자의 간체자를 만들어 공포하였고, 1986년 국무원 국가언어문자공작위원회에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를 통하여 총 2,235자의 간체자를 공표하였습니다.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는 세 개의 표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글자의 편방(偏旁)으로 쓰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쓰는 독자 간체자 (獨自簡體字) 350자, 다른 글자 옆에 붙여 쓰기도 하는 편방(偏旁) 간체자 132자, 다른 글자의 편방으로만 쓰이고 독자적으로는 쓰지 않는 간화편방(簡化偏旁) 14자가 실려 있습니다. 그 밖에 이체자 39자가 있습니다. 지금 쓰이는 간체자는 총 2,249자입니다.
한자는 다른 한자를 서로 붙여서 만든 글자가 많고, 그러한 측면에서 보면 실제 간체자는 간화편방 14자, 편방용 간체 132자 그리고 독자간체 350자 등 500 여자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兒/儿
아이 아 ér 어얼(얼)儿 어진사람인발/8
= 절구구(臼) + 사람인발(儿=人). 반대자는 親(어버이친).
児(약, 儿/7) 郳(중어, 이체).
[중어, 접미사] 낱말 뒤에 붙여 다앙햐게 쓰임. 독자간체 350, 1급.
壓/压
누를 압 yā 야土흙토/17
= 싫어할 염(厭) + 흙 토(土)
圧(약, 土/5), 독자간체350, 4급
礙/碍
거리낄 애 ài 아이石돌석/19
= 돌 석(石) + 못 믿을 의(疑)
㝵(동, 寸/8) 碍(속, 石/13), 독자간체350, 5급
爺/爷
아비 야 yé 이예父아비부/13
= 아비 부(父) + 어조사 야(耶)
독자간체350, 3급
藥/药
약 약 yào 야오艹풀초머리/19
薬(약, 艹/17)
= 풀 초(草 = 艹풀초머리, 초두) + 노래 악(樂) > 아픈 사람이 먹으면 즐거움을 찾는 풀
독자간체350, 2급
躍/跃
뛸 약, 빠른 모양 적 yuè 이위에足 발족/21획
= 발 족(足) + 꿩 적(翟)
躍(약, 足/21), 독자간체 350, 5급
鑰/钥
자물쇠 약 yuè 이위예金쇠금/25
= 쇠 금(金) + 피리 약(龠)
독자간체350, 4급
釀/酿
술 빚을 양 (본음: 냥) niàng 니양酉닭유/24
= 닭 유(酉 = 酒술주) + 도울 양(襄)
醸(약, 酉/20), 독자간체350, 6급
讓/让
사양할 양 ràng 뤼양(량)言말씀언/24
= 말씀 언(言) + 도울 양(襄)
譲(약, 言/20) 誏(중어, 이체), 독자간체 350, 2급
陽/阳
볕 양 yáng 양阝언덕부/12
= 언덕 부 (좌부변 阝=阜) + 볕 양, 쉬울 이(昜)
昜(동, 日/9) 阳(동, 阝/7) 阦(속, 阝/7)
(중어) 昜는 편방자 14자, 독자간체 350, 3급
養/养
기를 양 yǎng 양食밥식/15
= 양 양(羊) + 밥 식(食) > 양에게 밥을 주어 기르다
독자간체350, 4급
癢/痒
가려울 양 yǎng 양疒병질엄/20
= 병 질(疾 = 疒병질엄) + 기를 양(養)
독자간체 350, 5급
様/样
모양 양 yàng 양, 상수리나무 상木 나무목/15
= 나무목(木) + 강이길양(羕)
様(약, 木/14)
[중어, 량사] 가지, 종류. 독자간체350. 1급.
禦/御
막을 어 yù 이위 示보일시/16
= 거느릴 어(御) + 보일 시(示)
독자간체 350, 6급
億/亿
억 억, 헤아릴 억 yì 이亻사람인변/15
= 사람 인(人 = 亻사람인변) + 뜻 의(意)
독자간체 350, 5급
憶/忆
생각할 억 yì 이忄마음심방/16
= 마음 심(心 = 忄심방) + 뜻 의(意)
독자간체350, 4급
餘/余
남을 여 yú 위이飠밥식변/16획
= 밥 식(食 = 飠밥식변) + 나 여(余)
독자간체 350
淵/渊
못 연 yuān 이위옌氵물수변/12
= 물 수(水 = 氵삼수변) + 못 연(𣶒)
囦(고, 口에운담몸(큰입구)/7) 𣴺(동) 渁(동, 氵/11) 渊(속,氵 /11), 독자간체350
熱/热
더울 열 rè 러灬 불화발(연화발)/15.
= 재주예(埶) + 불화(灬=火)
독자간체 350, 1급.
鹽/盐
소금 염 yán 옌鹵소금로/24
= 볼 감(監) + 소금 로(鹵)
塩(속, 土/13) 圤(중어, 이체자), 4급
葉/叶
잎 엽 yè 이예艹풀초머리/13
= 풀 초(草 = 艹풀초머리, 초두) + 잎사귀 엽(枼)
독자간체350, 4급
譽/誉
기릴 예 yù 이위言말씀언/21
= 더불어 여(與) + 말씀 언(言)
誉(약, 言/13) 𣁎(속), 독자간체 350, 6급
襖/袄
웃옷 오衤옷의변/17획
= 옷 의(衣 = 衤옷의변) + 깊을 오(奧)
독자간체 350
穩/稳
평온할 온 wěn 원禾벼화/19
= 벼 화(禾) + 삼갈 은(㥯) >곡식을 거두어 들이는 안정되고 좋은 상태
독자간체350, 5급
醖/酝
술 빚을 온 yùn 이윈酉닭유/17
= 닭 유(酉 = 酒술주) + 어질 온(昷)
독자간체 350, 6급
擁/拥
껴안을 옹 yōng 용扌손수변/16
= 손 수(手 = 扌재방변) + 사이 좋을 옹(雍)
𢹬(본) 𢶜(동), 독자간체350, 5급
癰/痈
곪을 옹 yōng 용疒병질엄/23획
= 병 질(疾 = 疒병질엄) + 누그러질 옹(雝)
독자간체 350
窪/洼
웅덩이 와 wā 와穴 구멍 혈/14획
= 구멍 혈(穴) + 물 수(水 = 氵삼수변) + 홀 규(圭)
독자간체 350
擾/扰
어지러울 요 rǎo 롸오扌손수변/18
= 손 수(手 = 扌재방변) + 근심 우(憂)
독자간체350, 4급
傭/佣
품 팔 용 yōng 용亻사람인변/13
= 사람 인(人= 亻사람인변) + 쓸 용(庸 > 품: 일하는데 드는 힘(노동력)
독자간체 350, 6급
踴/踊
뛸 용 yǒng 용足발족/14
= 발 족(足) + 날랠 용(勇)
踊(통, 足/14) 踴(속, 足/16), 독자간체350
憂/忧
애태울(속끓일) 우 yōu 요우心마음심/15
= 근심 우(㥑) + 뒤져올 치(夂) > 머리가 무겁고 마음을 끓임
㥑(통, 心/12), 독자간체350, 6급
優/优
뛰어날 우 yōu 요우亻사람인변/17
= 사람 인(人= 亻사람인변) + 애탈 우(憂)
독자간체350, 4급
郵/邮
역참 우 yóu 요우阝고을읍(우부방)/11
= 드리울 수(垂) + 고을 읍(邑 = 阝우부방)
역참: 공무로 이동하는 관리에게 숙식과 말을 제공하는 집, 독자간체 350, 3급
運/运
돌릴 운 yùn 윈辶쉬엄쉬엄갈착/13
= 쉬엄쉬엄 갈 착(辵 = 辶책받침) + 군사 군(軍)
독자간체 350, 2급
鬱/郁
빽빽할 울 yù 이위鬯울창주창/29
= 수풀 림(林) + 장군 부(缶) + 울창주 창(鬯) + 터럭 삼(彡)
欝(속, 木/26) 鬰(중어, 이체자) , 독자간체350, 6급
園/园
동산 원 yuán 위옌口 에운담몸(큰입구)/13
= 에운담몸(口) + 옷이길원(袁)
薗(동, 艹풀초머리/17). 독자간체350. 3급.
遠/远
멀 원 yuǎn 이웬辶쉬엄쉬엄갈착(책받침)/14
= 쉬엄쉬엄 갈 착(辵 = 辶책받침) + 치렁치렁할 원(袁)
> 가까울근(近)의 반대자, 독자간체350, 2급
願/愿
바랄 원 yuàn 이위옌頁머리혈/19
= 언덕 원(原) + 머리 혈(頁)
독자간체350, 5급
衛/卫
지킬 위 wèi 웨이行갈행/15
= 갈 행(行) + 에워쌀 위(韋)
衞의 속자. 衞(본, 行/16), 독자간체 350, 4급
籲/吁
부르짖을 유, 부르짖을 약 yù 이위竹대죽/32
= 대 죽(竹) + 부를 유(龥)
독자간체350, 6급
應/应
대답할 응 yīng 잉心 마음심/17
= 매응(䧹) + 마음심(心)
. 譍(동, 言/20) 応(약, 心/7). 독자간체350. 3급.
擬/拟
(비기어) 헤아릴 의 nǐ 니이扌손수변/17
= 손 수(手 = 扌재방변) + 못 믿을 의(疑)
독자간체350, 6급
醫/医
의원 의 yī 이酉닭유/18
= 앓는 소리 예(殹) + 닭 유(酉 = 酒술주)
毉(동, 殳/18) 医(약, 匸감출혜몸/7), 독자간체 350, 1급
認/认
알 인 rèn 뤤言말씀언/14
= 말씀언(言) + 참을인(忍)
독자간체 350, 1급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1/9 - 가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2/9 - 나다라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3/9 - 마바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4/9 - 사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5/9 - 아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6/9 - 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7/9 - 차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8/9 - 카타파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9/9 - 하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간화편방 簡化偏旁 14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1/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2/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3/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1/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2/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3/3
중국어 발음 기호 자모표 (병음 기호)
중국 4 행정계층 및 성도, 수도 목록: 23(22)성(省) 5자치구(自治區) 4직할시(直轄市) 2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2/9 - 나다라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3/9 - 마바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4/9 - 사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5/9 - 아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6/9 - 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7/9 - 차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8/9 - 카타파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9/9 - 하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간화편방 簡化偏旁 14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1/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2/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3/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1/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2/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3/3
중국어 발음 기호 자모표 (병음 기호)
중국 4 행정계층 및 성도, 수도 목록: 23(22)성(省) 5자치구(自治區) 4직할시(直轄市) 2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간체자(簡體字) 또는 간화자(簡化字)는 중국에서 만든 것이고, 중국에서만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본래의 한자에서 필 획을 줄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를 이르는 말이고, 이에 대응하여 본래의 글자를 번체자(繁體字) 또는 정체자(正體字)라고 부릅니다.
중국 국무원(國務院) 문자개혁위원회에서 1956년 한자간소화방안(漢字簡素化方案)을 공포하고, 1964년 총 2,238자의 간체자를 만들어 공포하였고, 1986년 국무원 국가언어문자공작위원회에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를 통하여 총 2,235자의 간체자를 공표하였습니다.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는 세 개의 표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글자의 편방(偏旁)으로 쓰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쓰는 독자 간체자 (獨自簡體字) 350자, 다른 글자 옆에 붙여 쓰기도 하는 편방(偏旁) 간체자 132자, 다른 글자의 편방으로만 쓰이고 독자적으로는 쓰지 않는 간화편방(簡化偏旁) 14자가 실려 있습니다. 그 밖에 이체자 39자가 있습니다. 지금 쓰이는 간체자는 총 2,249자입니다.
한자는 다른 한자를 서로 붙여서 만든 글자가 많고, 그러한 측면에서 보면 실제 간체자는 간화편방 14자, 편방용 간체 132자 그리고 독자간체 350자 등 500 여자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