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한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4/9 - 사
아래는 독자 간체자 350자의 번체자 / 간체자 (繁體字 / 簡體字) 정리표 (가나다 순) 4쪽입니다. 총 9페이지 입니다.
辛매울신/19
= 뒤섞일 란(𤔔) + 매울 신(辛)
辞(약, 辛/13) 辤(속, 辛/15), 독자간체350, 5급
扌손수변/11
= 손 수(手 = 扌재방변) + 집 사(舍)
捨(동, 扌/11), 독자간체350
人사람인/12, 3급
伞(人/6획, 속자), 3급
氵물수변/15
= 물 수(水 = 氵삼수변) + 칼날 인(刃) + 칼날 인(刃) + 그칠 지(止) + 그칠 지(止)
澀(동, 氵/15) 渋(약,氵 /11) 𣹣(속), 독자간체350, 6급
口 입 구/12
丧(통자) 䘮(통자), 독자간체 350, 6급
亻사람인변/17
= 사람 인(人 = 亻사람인변) + 기릴 상(賞)
독자간체 350, 5급
亻사람인변/12
독자간체350, 4급
曰가로왈/10
= 붓율(聿)+가로왈(曰) '책'을 뜻하기도 함. 독자간체 350, 1급
辶쉬엄쉬엄갈착(책받침)/16
= 쉬엄쉬엄 갈 착(辵 = 辶책받침) + 부드러울 손(巽)
독자간체350, 3급
金 쇠 금/19획
= 쇠 금(金) + 돌 선(旋) > 갈이틀 : 나무깎는 기계
독자간체 350
衣 옷 의/17획
= 돼지 해 머리(亠 = 亥) + 재주 예(埶) + 옷 의(衣)
독자간체 350
糸실사/23
= 실 사(糸) + 부추 섬(韱)
繊(동, 糸/17) 纎(속, 糸/21), 독자간체350, 6급
歹죽을사 변/21획
= 죽을 사(死 = 歹죽을사변) + 부추 섬(韱)
독자간체 350
耳 귀이/17획
声(약, 士선비사/7), 3급
力힘력/13
= 재주 예(埶) + 힘 력(力)
埶(동, 土/11, 藝(재주 예)의 동자이기도 함) 势(속, 力/8), 독자간체 350, 5급
扌손수변/11
= 손 수(手 = 扌재방변) + 비자루 추(帚)
독자간체350, 3급
艹풀초머리/20
= 풀 초(草 = 艹풀초머리) + 깨어날 소(穌)
穌(통), 蘇、囌 간체자 같음, 독자간체350, 6급
口입구/23
= 입 구(口) + 되살아날 소(蘇)
蘇、囌 간체자 같음, 독자간체 350
髟터럭발머리/18
= 터럭 발(髟) + 소나무 송(松)
독자간체350
氵물수변/22
= 물 수(水 = 氵삼수변) + 고울 려(麗)
독자간체350, 5급
日날일/23
= 해 일(日) + 고율 려(麗)
晒(동, 日/10) 㬠(속, 日/17, 煞(죽일 살)의 동자이기도 함, 독자간체350, 5급
巾수건건/9
= 드리울 퇴(𠂤) + 수건 건(巾)
(중어+) 멋지다, 독자간체350, 4급
木나무목/15
= 나무 목(木) + 세울 수(尌)
𣗳(속, 木/9), 독자간체350, 3급
隹새추/17
= 입 구(口) + 벌레 훼(虫) + 새 추(隹)
虽(속, 虫/9), 독자간체 350, 2급
犬개견/19
= 가축 축(嘼) + 개 견(犬)
獣(속, 犬/16), 독자간체350, 6급
阝언덕부(좌부방)/16
> 隋(떨어질 타)
遀(고, 辶/13) 随(약, 阝/12), 4급
髟터럭발/22
= 터럭 발(髟) + 수염 수(須)
䰅(동, 髟/19), 독자간체350, 6급
行갈행/11
= 갈 행(行) + 차조 출(朮)
독자간체350, 4급
羽깃우/11,
= 깃털 우(羽) + 흰 백(白)
> 새새끼가 두 날개를 퍼득이며 나는 법을 익히다, 독자간체350, 1급
氵물수변/17
= 물 수(水 = 氵삼수변) + 나타날 현(㬎)
溼(동, 氵/13) 湿(약, 氵/12), 독자간체350, 5급
力힘력/12
= 나 짐(朕) + 힘 력(力)
독자간체350, 5급
宀집면(갓머리)/14
= 집 면(宀 갓머리) + 꿸 관(貫)
宲(고, 宀/10) 実(약, 宀/8) 实(속, 宀/8), 독자간체350, 3급
氵물수변/18
= 물 수(水 = 氵삼수변) + 살필 심(審)
독자간체350
(중어) 간체자 2개임: 1) 渖 즙 뜻의 간체자 2) 沈 지명 심양시 뜻일 때의 간체자
간체자(簡體字) 또는 간화자(簡化字)는 중국에서 만든 것이고, 중국에서만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본래의 한자에서 필 획을 줄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를 이르는 말이고, 이에 대응하여 본래의 글자를 번체자(繁體字) 또는 정체자(正體字)라고 부릅니다.
중국 국무원(國務院) 문자개혁위원회에서 1956년 한자간소화방안(漢字簡素化方案)을 공포하고, 1964년 총 2,238자의 간체자를 만들어 공포하였고, 1986년 국무원 국가언어문자공작위원회에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를 통하여 총 2,235자의 간체자를 공표하였습니다.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는 세 개의 표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글자의 편방(偏旁)으로 쓰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쓰는 독자 간체자 (獨自簡體字) 350자, 다른 글자 옆에 붙여 쓰기도 하는 편방(偏旁) 간체자 132자, 다른 글자의 편방으로만 쓰이고 독자적으로는 쓰지 않는 간화편방(簡化偏旁) 14자가 실려 있습니다. 그 밖에 이체자 39자가 있습니다. 지금 쓰이는 간체자는 총 2,249자입니다.
한자는 다른 한자를 서로 붙여서 만든 글자가 많고, 그러한 측면에서 보면 실제 간체자는 간화편방 14자, 편방용 간체 132자 그리고 독자간체 350자 등 500 여자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辭/辞
말씀 사 cí 츠으辛매울신/19
= 뒤섞일 란(𤔔) + 매울 신(辛)
辞(약, 辛/13) 辤(속, 辛/15), 독자간체350, 5급
捨/舍
버릴 사 shě 스휴어(슈어)扌손수변/11
= 손 수(手 = 扌재방변) + 집 사(舍)
捨(동, 扌/11), 독자간체350
傘/伞
우산 산 sǎn 싼人사람인/12, 3급
伞(人/6획, 속자), 3급
澀/涩
떫을 삽 sè 써氵물수변/15
= 물 수(水 = 氵삼수변) + 칼날 인(刃) + 칼날 인(刃) + 그칠 지(止) + 그칠 지(止)
澀(동, 氵/15) 渋(약,氵 /11) 𣹣(속), 독자간체350, 6급
喪/丧
잃을 상 sāng 쌍口 입 구/12
丧(통자) 䘮(통자), 독자간체 350, 6급
償/偿
갚을 상 cháng 츠항(챵)亻사람인변/17
= 사람 인(人 = 亻사람인변) + 기릴 상(賞)
독자간체 350, 5급
傷/伤
다칠 상 shāng 스향(샹)亻사람인변/12
독자간체350, 4급
書/书
글 서 shū 슈 曰가로왈/10
= 붓율(聿)+가로왈(曰) '책'을 뜻하기도 함. 독자간체 350, 1급
選/选
가릴 선 xuǎn 쉬옌辶쉬엄쉬엄갈착(책받침)/16
= 쉬엄쉬엄 갈 착(辵 = 辶책받침) + 부드러울 손(巽)
독자간체350, 3급
鏇/旋
갈이틀 선 xuàn 슈엔金 쇠 금/19획
= 쇠 금(金) + 돌 선(旋) > 갈이틀 : 나무깎는 기계
독자간체 350
褻/亵
더러울 설 xiè 시예衣 옷 의/17획
= 돼지 해 머리(亠 = 亥) + 재주 예(埶) + 옷 의(衣)
독자간체 350
纖/纤
가늘 섬 xiān 시옌糸실사/23
= 실 사(糸) + 부추 섬(韱)
繊(동, 糸/17) 纎(속, 糸/21), 독자간체350, 6급
殲/歼
다 죽일 섬 jiān 지옌歹죽을사 변/21획
= 죽을 사(死 = 歹죽을사변) + 부추 섬(韱)
독자간체 350
聲/纤
소리 성 shēng 셩耳 귀이/17획
声(약, 士선비사/7), 3급
勢/势
뻗치는 힘(기세) 세 shì 스히(시)力힘력/13
= 재주 예(埶) + 힘 력(力)
埶(동, 土/11, 藝(재주 예)의 동자이기도 함) 势(속, 力/8), 독자간체 350, 5급
掃/扫
쓸 소 sǎo 싸오扌손수변/11
= 손 수(手 = 扌재방변) + 비자루 추(帚)
독자간체350, 3급
蘇/苏
되살아날 소 sū 쑤艹풀초머리/20
= 풀 초(草 = 艹풀초머리) + 깨어날 소(穌)
穌(통), 蘇、囌 간체자 같음, 독자간체350, 6급
囌/苏
군소리할 소 sū 쑤口입구/23
= 입 구(口) + 되살아날 소(蘇)
蘇、囌 간체자 같음, 독자간체 350
鬆/松
더벅머리 송 sōng 쏭髟터럭발머리/18
= 터럭 발(髟) + 소나무 송(松)
독자간체350
灑/洒
뿌릴 쇄 sǎ 싸아氵물수변/22
= 물 수(水 = 氵삼수변) + 고울 려(麗)
독자간체350, 5급
曬/晒
쬘 쇄 shài 스햐이(샤이) 日날일/23
= 해 일(日) + 고율 려(麗)
晒(동, 日/10) 㬠(속, 日/17, 煞(죽일 살)의 동자이기도 함, 독자간체350, 5급
帥/帅
장수 수, 거느릴 솔 shuài 스훼이(셔웨이)巾수건건/9
= 드리울 퇴(𠂤) + 수건 건(巾)
(중어+) 멋지다, 독자간체350, 4급
樹/树
나무(심을) 수 shù 슈木나무목/15
= 나무 목(木) + 세울 수(尌)
𣗳(속, 木/9), 독자간체350, 3급
雖/虽
비록 수 suī 쑤이隹새추/17
= 입 구(口) + 벌레 훼(虫) + 새 추(隹)
虽(속, 虫/9), 독자간체 350, 2급
獸/兽
짐승 수 shòu 스효우(쇼우)犬개견/19
= 가축 축(嘼) + 개 견(犬)
獣(속, 犬/16), 독자간체350, 6급
隨/随
따를 수 suí 쓰이阝언덕부(좌부방)/16
> 隋(떨어질 타)
遀(고, 辶/13) 随(약, 阝/12), 4급
鬚/须
수염 수 xū 쉬이髟터럭발/22
= 터럭 발(髟) + 수염 수(須)
䰅(동, 髟/19), 독자간체350, 6급
術/术
꾀 술 shù 스휴(슈)行갈행/11
= 갈 행(行) + 차조 출(朮)
독자간체350, 4급
習/习
익힐 습 xí 시羽깃우/11,
= 깃털 우(羽) + 흰 백(白)
> 새새끼가 두 날개를 퍼득이며 나는 법을 익히다, 독자간체350, 1급
濕/湿
젖을 습 shī 스히(시)氵물수변/17
= 물 수(水 = 氵삼수변) + 나타날 현(㬎)
溼(동, 氵/13) 湿(약, 氵/12), 독자간체350, 5급
勝/胜
이길 승 shèng 스형(셩)力힘력/12
= 나 짐(朕) + 힘 력(力)
독자간체350, 5급
實/实
열매 실 shí 스히(시이)宀집면(갓머리)/14
= 집 면(宀 갓머리) + 꿸 관(貫)
宲(고, 宀/10) 実(약, 宀/8) 实(속, 宀/8), 독자간체350, 3급
瀋/渖沈
즙 심 shěn 션氵물수변/18
= 물 수(水 = 氵삼수변) + 살필 심(審)
독자간체350
(중어) 간체자 2개임: 1) 渖 즙 뜻의 간체자 2) 沈 지명 심양시 뜻일 때의 간체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1/9 - 가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2/9 - 나다라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3/9 - 마바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4/9 - 사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5/9 - 아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6/9 - 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7/9 - 차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8/9 - 카타파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9/9 - 하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간화편방 簡化偏旁 14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1/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2/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3/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1/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2/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3/3
중국어 발음 기호 자모표 (병음 기호)
중국 4 행정계층 및 성도, 수도 목록: 23(22)성(省) 5자치구(自治區) 4직할시(直轄市) 2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2/9 - 나다라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3/9 - 마바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4/9 - 사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5/9 - 아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6/9 - 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7/9 - 차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8/9 - 카타파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9/9 - 하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간화편방 簡化偏旁 14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1/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2/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3/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1/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2/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3/3
중국어 발음 기호 자모표 (병음 기호)
중국 4 행정계층 및 성도, 수도 목록: 23(22)성(省) 5자치구(自治區) 4직할시(直轄市) 2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간체자(簡體字) 또는 간화자(簡化字)는 중국에서 만든 것이고, 중국에서만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본래의 한자에서 필 획을 줄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를 이르는 말이고, 이에 대응하여 본래의 글자를 번체자(繁體字) 또는 정체자(正體字)라고 부릅니다.
중국 국무원(國務院) 문자개혁위원회에서 1956년 한자간소화방안(漢字簡素化方案)을 공포하고, 1964년 총 2,238자의 간체자를 만들어 공포하였고, 1986년 국무원 국가언어문자공작위원회에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를 통하여 총 2,235자의 간체자를 공표하였습니다.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는 세 개의 표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글자의 편방(偏旁)으로 쓰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쓰는 독자 간체자 (獨自簡體字) 350자, 다른 글자 옆에 붙여 쓰기도 하는 편방(偏旁) 간체자 132자, 다른 글자의 편방으로만 쓰이고 독자적으로는 쓰지 않는 간화편방(簡化偏旁) 14자가 실려 있습니다. 그 밖에 이체자 39자가 있습니다. 지금 쓰이는 간체자는 총 2,249자입니다.
한자는 다른 한자를 서로 붙여서 만든 글자가 많고, 그러한 측면에서 보면 실제 간체자는 간화편방 14자, 편방용 간체 132자 그리고 독자간체 350자 등 500 여자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