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한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1/9 - 가
간체자(簡體字) 또는 간화자(簡化字)는 중국에서 만든 것이고, 중국에서만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본래의 한자에서 필 획을 줄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를 이르는 말이고, 이에 대응하여 본래의 글자를 번체자(繁體字) 또는 정체자(正體字)라고 부릅니다.
중국 국무원(國務院) 문자개혁위원회에서 1956년 한자간소화방안(漢字簡素化方案)을 공포하고, 1964년 총 2,238자의 간체자를 만들어 공포하였고, 1986년 국무원 국가언어문자공작위원회에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를 통하여 총 2,235자의 간체자를 공표하였습니다.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는 세 개의 표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글자의 편방(偏旁)으로 쓰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쓰는 독자 간체자 (獨自簡體字) 350자, 다른 글자 옆에 붙여 쓰기도 하는 편방(偏旁) 간체자 132자, 다른 글자의 편방으로만 쓰이고 독자적으로는 쓰지 않는 간화편방(簡化偏旁) 14자가 실려 있습니다. 그 밖에 이체자 39자가 있습니다. 지금 쓰이는 간체자는 총 2,249자입니다.
한자는 다른 한자를 서로 붙여서 만든 글자가 많고, 그러한 측면에서 보면 실제 간체자는 간화편방 14자, 편방용 간체 132자 그리고 독자간체 350자 등 500 여자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 중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이 500 여자를 얼마나 훤하게 꿰뚫어 익히는가에 중국어 공부의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해도 되지 싶습니다.
아래는 독자 간체자 350자의 번체자 / 간체자 (繁體字 / 簡體字) 정리표 (가나다 순) 1쪽 입니다. 총 9페이지 입니다.
亻사람인변/12
= 사람 인(亻=人) + 집 가(家)
독자간체350
亻사람인변/15.
= 사람 인(亻 = 人) + 값 가(賈)
賈(동, 貝조개패/13) 価(약, 亻/8).
독자간체350. 4급.
干 방패간/13.
榦(본, 木/14).
= 해돋을간(倝) + 방패간(干) > 햇살이 쭉 뻗치듯이 무엇의 쭉 뻗은 줄기를 말함.
독자간체350. 3급.
走 달릴 주/14,
= 달릴 주(走) + 가물 한(旱)
赶(동, 走/10)
(중어) 뒤쫓다, 독자간체350, 4급
扌손수변/12,
= 손 수(扌재방변 =手) + 가릴 간(柬)
독자간체350, 6급
艮그칠간/17, 독자간체350, 5급
土 흙 토/16획
= 흙 토(土) + 간절할 간(貇). 따비질하다 : 황무지를 일구다
독자간체350
心마음심/17,
= 간절할 간(貇) + 마음 심(心)
恳(속, 心/10) 독자간체350, 5급
鹵 짠땅 로/24,
= 짠 땅 로(鹵) + 다 첨(僉)
鹸(동, 鹵/19) 鹻(동, 鹵/21) 碱(속, 石/14) 堿(土/12), 독자간체350
言말씀언/17,
= 말씀 언(言) + 짤 구(冓)
독자간체350, 3급
艹풀초머리/17,
= 풀초 머리(艹 = 草) + 지경 강(畺)
䕬(동, 艹/20), 독자간체350
亻사람인변/10,
= 사람 인(人) + 굳을 고(固)
㐰(약, 亻/5, 신(信)의 고자이기도 함) 箇(통, 竹/14) 个(고, 丨뚫을곤/3, 竹의 반쪽), 1급
門 문문/12.
= 문 문(門) + 고를 견(开) > 문을 고르게(평평하고 가지런하게) 열다.
[중어] 닫힌 것을 열다, 멈춘 것을 움직이게 하다.. 따위로 두루 쓰임. 1급.
艹풀초머리/14
= 풀 초(草 = 艹 풀 초 머리) + 덮을 합(盍)
葢(본, 艹/13) 盖(속, 皿그릇명/11) 乢(동), 독자간체350, 5급
扌손수변/16
= 손 수(手 = 扌손 수변, 재방변) + 원숭이 거(豦)
㩀(동, 扌/14) 㨿(속, 扌/14) 拠(속, 扌/8), 3급
乙 새을/11
= 해돋을간(倝) + 새을(乙) > 하늘에 해가 돋아 빛이 비치니 젖은 것이 마른다. 본 소리는 '간'.
漧(고, 氵/14).
[중어] 간자로는 gān(깐ㄴ)으로 소리됨. 4급.
手손수/17
= 칠 격(𣪠) + 손 수(手)
撃(약, 手/15), 독자간체350, 5급
牛소우/11
= 가물 현(玄) + 덮을 멱(冪 = 冖, 민갓머리 + 소우(牛)
𢴡(고), 독자간체350, 6급
糸실사/17
= 실사(糸) + 끌 견(牽)
독자간체350
糸 실 사/19 . 고치: 누에가 실을 봅아 지은 애벌레 집
독자간체350
氵물수변/15
= 물 수(水 = 氵물 수 변, 삼수변) + 깨끗할 결(絜)
㓗(속, 冫이수변 /14), 독자간체350, 6급
立설립/20
竸(동, 立/22), 독자간체350, 4급
忄마음심방/15
= 사슴 록(鹿) + 마음 심(心) + 뒤져올 치(夂)
독자간체350, 5급
馬 말 마/23,
= 삼갈 경(敬) + 말 마(馬)
독자간체350, 4급
王구슬옥/19
= 구슬 옥(玉) + 멀 형(敻)
독자간체350
口입구/11
= 열 계(𢼄) + 입 구(口)
启(동, 口/7) 諬(동, 言/16) 𢻻(동) 啟(본, 攵/11), 독자간체350, 5급
隹새추/18,
= = 어찌 해(奚) + 새추(隹)
鷄(동) 㶉(동) 䳶(동), 독자간체 350. 2급
阝언덕부(좌부방)/12
= 언덕 부(阝= 阜) + 다 개(皆)
堦(동, 土/12), 독자간체350, 5급
亻사람인변/9
= 사람 인(人 = 亻) + 이을 계(系)
繫(縘), 係의 간체는 모두 같음(系)
糸실사/19
= 실 사(糸) + 격(𣪠)
縘(동, 糸/16)
繫(縘), 係의 간체는 모두 같음(系)
糸실사변/20
= 실 사(糸) + 이을 계(㡭)
㡭(동, 幺작을요/14) 継(속, 糸/13), 독자간체350, 4급
頁머리혈/21
= 품팔 고(雇) + 머리 혈(頁)
頋(속, 頁/14), 독자간체350, 3급
禾 벼 화/15,
= 껍질 각(殼) + 벼 화(禾)
穀(약, 禾/15, 禾위에 一이 있음) 糓(속, 米/16)
(중어1) 좋다(훌륭하다). 녹봉(祿俸)으로 쓰고
(중어2) '곡식'의 뜻으로 쓸 때는 간체자로 谷라고 쓰고 [gǔ 꾸우]로 읽음, 독자간체350, 6급
目 눈 목/ 12획
= 눈 목(目) + 에운담 몸(口) + 나무 목(木)
독자간체 350, 4급
革가죽혁/15
= 굳을 공(巩) + 가죽 혁(革)
(중어) 간체자 오른쪽이 凡(무릇 범)자임, 독자간체 350, , 6급
夕저녁석/14
= 열매 과(果) + 많을 다(多)
㚌(동, 夕/14), 독자간체350, 4급
言말씀언/13
= 말씀 언(言) + 자랑할 과(夸)
독자간체350, 5급
見볼견/25
= 황새 관(雚) + 볼 견(見)
観(약, 見/18) 覌(속, 見/9), 독자간체 350, 4급
門 문문/19
= 문문(門) + 실을 꿴 북을 뜻하는 관. 빗장: 문을 가로질러 잠그는 막대기.
. 関(속, 門/14) 闗(속, 門/18). 독자간체 350, 1급.
風바람풍/15
= 바람 풍(風) + 혀 설(舌)
독자간체350, 3급
土흙토/13,
= 土(흙 토) + 鬼(귀신 귀)
凷(동)
<량> 덩어리나 조각을 셈. 한 덩이, 두 덩이 …, 1급
土흙토/19
= 흙 토(土) + 품을 회(褱)
壊(약, 土/16)
(중어) 상태 등이 나쁘다, 3급
車 수레거/21. > 수레(車) 세 대가 지나가니 땅이 울린다
독자간체350, 6급
月육달월/15
= 육달 월(月 = 肉) + 높이 날 료(翏)
> 갖풀: 동물의 가죽과 뼈를 고아 만든 풀
독자간체 350, 5급
臼절구구/18
= 풀 초(草 = 艹 풀초머리) + 새 추(隹) + 절구 구(臼)
旧(속, 日/5), 독자간체350, 3급
忄마음심방/21
= 마음 심(心 = 忄심방변) + 놀랄 구(瞿)
愳(고, 心/14) 𢡔(고) 惧(속, 忄/11), 독자간체350, 6급
氵물수변/13
= 물 수(水 = 氵삼수변) + 짤 구(冓)
> 봇도랑: 보(洑)의 물이 나고 드는 좁다란 도랑
독자간체350, 5급
木나무목/14
= 나무 목(木) + 짤 구(冓)
독자간체350, 5급
貝조개패/17
= 조개 패(貝) + 짤 구(冓). > 돈을 주고 무엇을 사다
독자간체350, 4급
麥보리맥/17
= 보리 맥() + 굽을 곡(曲)
麴(동)
扌손수변/11
= 손 수(手 = 扌 재방변) + 말 권(卷)
독자간체350, 6급
力힘력/20
= 황새 관(雚) + 힘 력(力)
勧(약, 力/13) 劝(속, 力/4), 독자간체350, 5급
木나무목/22
権(속, 木/15), 독자간체350, 5급
>저울추: 저울대에서 움직여 균형을 맞추는 쇠붙이 > 무게에 따라 추를 움직이듯이 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대응하는 임기응변(臨機應變). 원래의 저울추는 아주 바른 것이지만, 나쁜짓을 일삼는 무리들이 정권을 쥐고 흔들게 됨에 따라 權자에 임기응변이라는 뜻이 생김.
木나무목/18
= 나무 목(木) + 함 궤(匱)
독자간체 350, 5급
穴구멍혈/18
= 구멍혈(穴) + 노래할 교(敫)
䆻(동, 穴/17), 6급
刂선칼도방/9
= 이길 극(克) + 칼 도(刀 = 刂 칼도방, 선 칼 도)
尅(속, 寸마디촌/10), (중어) 때리다, 독자간체350, 4급
木나무목/13
= 나무 목(木) + 빠를 극(亟)
독자간체350, 3급
刂선칼도방/15
=. 원숭이거(豦) + 칼 도(刂=刀)
독자간체 350, 4급.
亻사람인변/13
타내는 = 사람 인(亻(=人) + 진흙 근(堇)
㢙(동, 广/16), 독자간체350, 4급
衤옷의변/9
= 옷 의(衣 = 衤옷의 변) + 각시 씨(氏)
祗(동)
글자를 하나하나 찾아서 이 표를 만드는데 지겨울 만큼 시간이 걸렸습니다. 처음으로 한자를 공부하는 분이라면, 아마도, 지겨움을 느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욕심 부리지 않고 매일 몇 자씩 익히다 보면 즐거운 끝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본래의 한자에서 필 획을 줄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를 이르는 말이고, 이에 대응하여 본래의 글자를 번체자(繁體字) 또는 정체자(正體字)라고 부릅니다.
중국 국무원(國務院) 문자개혁위원회에서 1956년 한자간소화방안(漢字簡素化方案)을 공포하고, 1964년 총 2,238자의 간체자를 만들어 공포하였고, 1986년 국무원 국가언어문자공작위원회에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를 통하여 총 2,235자의 간체자를 공표하였습니다.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는 세 개의 표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글자의 편방(偏旁)으로 쓰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쓰는 독자 간체자 (獨自簡體字) 350자, 다른 글자 옆에 붙여 쓰기도 하는 편방(偏旁) 간체자 132자, 다른 글자의 편방으로만 쓰이고 독자적으로는 쓰지 않는 간화편방(簡化偏旁) 14자가 실려 있습니다. 그 밖에 이체자 39자가 있습니다. 지금 쓰이는 간체자는 총 2,249자입니다.
한자는 다른 한자를 서로 붙여서 만든 글자가 많고, 그러한 측면에서 보면 실제 간체자는 간화편방 14자, 편방용 간체 132자 그리고 독자간체 350자 등 500 여자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 중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이 500 여자를 얼마나 훤하게 꿰뚫어 익히는가에 중국어 공부의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해도 되지 싶습니다.
아래는 독자 간체자 350자의 번체자 / 간체자 (繁體字 / 簡體字) 정리표 (가나다 순) 1쪽 입니다. 총 9페이지 입니다.
傢/家
살림살이(세간) 가 jiā 지야亻사람인변/12
= 사람 인(亻=人) + 집 가(家)
독자간체350
價/价
값 가 jià 지야亻사람인변/15.
= 사람 인(亻 = 人) + 값 가(賈)
賈(동, 貝조개패/13) 価(약, 亻/8).
독자간체350. 4급.
幹/干
줄기 간 gàn 깐干 방패간/13.
榦(본, 木/14).
= 해돋을간(倝) + 방패간(干) > 햇살이 쭉 뻗치듯이 무엇의 쭉 뻗은 줄기를 말함.
독자간체350. 3급.
趕/赶
달릴 간 gǎn 깐走 달릴 주/14,
= 달릴 주(走) + 가물 한(旱)
赶(동, 走/10)
(중어) 뒤쫓다, 독자간체350, 4급
揀/拣
가릴 간 jiǎn 찌옌扌손수변/12,
= 손 수(扌재방변 =手) + 가릴 간(柬)
독자간체350, 6급
艱/艰
어려울 간 jiān 찌옌艮그칠간/17, 독자간체350, 5급
墾/垦
따비할 간 kěn 커언土 흙 토/16획
= 흙 토(土) + 간절할 간(貇). 따비질하다 : 황무지를 일구다
독자간체350
懇/恳
정성 간 kěn 커언心마음심/17,
= 간절할 간(貇) + 마음 심(心)
恳(속, 心/10) 독자간체350, 5급
鹼/硷
소금기 감 jiǎn 찌옌鹵 짠땅 로/24,
= 짠 땅 로(鹵) + 다 첨(僉)
鹸(동, 鹵/19) 鹻(동, 鹵/21) 碱(속, 石/14) 堿(土/12), 독자간체350
講/讲
익힐 강 jiǎng 지양言말씀언/17,
= 말씀 언(言) + 짤 구(冓)
독자간체350, 3급
薑/姜
생강 강 jiāng 지양艹풀초머리/17,
= 풀초 머리(艹 = 草) + 지경 강(畺)
䕬(동, 艹/20), 독자간체350
個/个
낱 개 gè 꺼亻사람인변/10,
= 사람 인(人) + 굳을 고(固)
㐰(약, 亻/5, 신(信)의 고자이기도 함) 箇(통, 竹/14) 个(고, 丨뚫을곤/3, 竹의 반쪽), 1급
開/开
열 개 kāi 카이門 문문/12.
= 문 문(門) + 고를 견(开) > 문을 고르게(평평하고 가지런하게) 열다.
[중어] 닫힌 것을 열다, 멈춘 것을 움직이게 하다.. 따위로 두루 쓰임. 1급.
蓋/盖
덮을 개 gài 까이艹풀초머리/14
= 풀 초(草 = 艹 풀 초 머리) + 덮을 합(盍)
葢(본, 艹/13) 盖(속, 皿그릇명/11) 乢(동), 독자간체350, 5급
據/据
바탕할 거, 의거할 거 jū 쮜이扌손수변/16
= 손 수(手 = 扌손 수변, 재방변) + 원숭이 거(豦)
㩀(동, 扌/14) 㨿(속, 扌/14) 拠(속, 扌/8), 3급
乾/干
마를 건, 하늘 건 qián 치옌, gān 깐乙 새을/11
= 해돋을간(倝) + 새을(乙) > 하늘에 해가 돋아 빛이 비치니 젖은 것이 마른다. 본 소리는 '간'.
漧(고, 氵/14).
[중어] 간자로는 gān(깐ㄴ)으로 소리됨. 4급.
撃/击
칠 격 jī 찌手손수/17
= 칠 격(𣪠) + 손 수(手)
撃(약, 手/15), 독자간체350, 5급
牽/牵
끌(몰) 견 qiān 치옌牛소우/11
= 가물 현(玄) + 덮을 멱(冪 = 冖, 민갓머리 + 소우(牛)
𢴡(고), 독자간체350, 6급
縴/纤
(새것이 아닌) 헌 솜 견 qiàn 치옌, 밧줄 념糸실사/17
= 실사(糸) + 끌 견(牽)
독자간체350
繭/茧
고치 견 jiǎn 지옌糸 실 사/19 . 고치: 누에가 실을 봅아 지은 애벌레 집
독자간체350
潔/洁
깨끗할 결 jié 찌예氵물수변/15
= 물 수(水 = 氵물 수 변, 삼수변) + 깨끗할 결(絜)
㓗(속, 冫이수변 /14), 독자간체350, 6급
競/竞
다툴 경 jìng 징立설립/20
竸(동, 立/22), 독자간체350, 4급
慶/庆
경사 경 qìng 칭忄마음심방/15
= 사슴 록(鹿) + 마음 심(心) + 뒤져올 치(夂)
독자간체350, 5급
驚/惊
놀랄 경 jīng 찡馬 말 마/23,
= 삼갈 경(敬) + 말 마(馬)
독자간체350, 4급
瓊/琼
옥 경, 옥 선 qióng 치요웅(치융)王구슬옥/19
= 구슬 옥(玉) + 멀 형(敻)
독자간체350
啓/启
열 계 qǐ 치이口입구/11
= 열 계(𢼄) + 입 구(口)
启(동, 口/7) 諬(동, 言/16) 𢻻(동) 啟(본, 攵/11), 독자간체350, 5급
鷄/鸡
닭 계 jī 지이隹새추/18,
= = 어찌 해(奚) + 새추(隹)
鷄(동) 㶉(동) 䳶(동), 독자간체 350. 2급
階/阶
섬돌 계 jiē 찌예阝언덕부(좌부방)/12
= 언덕 부(阝= 阜) + 다 개(皆)
堦(동, 土/12), 독자간체350, 5급
係/系
맬 계 jì 지 亻사람인변/9
= 사람 인(人 = 亻) + 이을 계(系)
繫(縘), 係의 간체는 모두 같음(系)
繫/系
맬 계 jì 지糸실사/19
= 실 사(糸) + 격(𣪠)
縘(동, 糸/16)
繫(縘), 係의 간체는 모두 같음(系)
繼/继
이을 계 jì 지糸실사변/20
= 실 사(糸) + 이을 계(㡭)
㡭(동, 幺작을요/14) 継(속, 糸/13), 독자간체350, 4급
顧/顾
돌아볼 고 gù 꾸頁머리혈/21
= 품팔 고(雇) + 머리 혈(頁)
頋(속, 頁/14), 독자간체350, 3급
榖/谷
곡식 곡 gǔ 꾸우禾 벼 화/15,
= 껍질 각(殼) + 벼 화(禾)
穀(약, 禾/15, 禾위에 一이 있음) 糓(속, 米/16)
(중어1) 좋다(훌륭하다). 녹봉(祿俸)으로 쓰고
(중어2) '곡식'의 뜻으로 쓸 때는 간체자로 谷라고 쓰고 [gǔ 꾸우]로 읽음, 독자간체350, 6급
睏/困
졸릴 곤 kùn 쿤目 눈 목/ 12획
= 눈 목(目) + 에운담 몸(口) + 나무 목(木)
독자간체 350, 4급
鞏/巩
묶을 공 gǒng 꽁革가죽혁/15
= 굳을 공(巩) + 가죽 혁(革)
(중어) 간체자 오른쪽이 凡(무릇 범)자임, 독자간체 350, , 6급
夥/伙
많을 과, 많을 화 huǒ 후어夕저녁석/14
= 열매 과(果) + 많을 다(多)
㚌(동, 夕/14), 독자간체350, 4급
誇/夸
자랑할 과 kuā 쿠와(콰)言말씀언/13
= 말씀 언(言) + 자랑할 과(夸)
독자간체350, 5급
觀/观
볼 관 guān 꾸안(꽌)見볼견/25
= 황새 관(雚) + 볼 견(見)
観(약, 見/18) 覌(속, 見/9), 독자간체 350, 4급
關/关
빗장 관 guān 꾸완, 당길 완門 문문/19
= 문문(門) + 실을 꿴 북을 뜻하는 관. 빗장: 문을 가로질러 잠그는 막대기.
. 関(속, 門/14) 闗(속, 門/18). 독자간체 350, 1급.
颳/刮
모진 바람 괄 guā 꽈風바람풍/15
= 바람 풍(風) + 혀 설(舌)
독자간체350, 3급
塊/块
흙덩이 괴 kuài 쿠아이(콰이)土흙토/13,
= 土(흙 토) + 鬼(귀신 귀)
凷(동)
<량> 덩어리나 조각을 셈. 한 덩이, 두 덩이 …, 1급
壞/坏
무너질 괴 huài 후아이(화이)土흙토/19
= 흙 토(土) + 품을 회(褱)
壊(약, 土/16)
(중어) 상태 등이 나쁘다, 3급
轟/轰
울릴 굉 hōng 홍車 수레거/21. > 수레(車) 세 대가 지나가니 땅이 울린다
독자간체350, 6급
膠/胶
갖풀 교 jiāo 찌아오月육달월/15
= 육달 월(月 = 肉) + 높이 날 료(翏)
> 갖풀: 동물의 가죽과 뼈를 고아 만든 풀
독자간체 350, 5급
舊/旧
예 구 jiù 지유臼절구구/18
= 풀 초(草 = 艹 풀초머리) + 새 추(隹) + 절구 구(臼)
旧(속, 日/5), 독자간체350, 3급
懼/惧
두려워할 구 jù 쮜忄마음심방/21
= 마음 심(心 = 忄심방변) + 놀랄 구(瞿)
愳(고, 心/14) 𢡔(고) 惧(속, 忄/11), 독자간체350, 6급
溝/沟
봇도랑 구 gōu 꼬우氵물수변/13
= 물 수(水 = 氵삼수변) + 짤 구(冓)
> 봇도랑: 보(洑)의 물이 나고 드는 좁다란 도랑
독자간체350, 5급
構/构
얽을(짤) 구 gòu 꼬우木나무목/14
= 나무 목(木) + 짤 구(冓)
독자간체350, 5급
購/购
살 구 gòu 꼬우貝조개패/17
= 조개 패(貝) + 짤 구(冓). > 돈을 주고 무엇을 사다
독자간체350, 4급
麯/曲
누룩 국 qū 취 麥보리맥/17
= 보리 맥() + 굽을 곡(曲)
麴(동)
捲/卷
(둥글게) 말 권 juǎn 쮜엔扌손수변/11
= 손 수(手 = 扌 재방변) + 말 권(卷)
독자간체350, 6급
勸/劝
권할 권 quàn 취옌力힘력/20
= 황새 관(雚) + 힘 력(力)
勧(약, 力/13) 劝(속, 力/4), 독자간체350, 5급
權/权
저울추 권 quán 취옌木나무목/22
権(속, 木/15), 독자간체350, 5급
>저울추: 저울대에서 움직여 균형을 맞추는 쇠붙이 > 무게에 따라 추를 움직이듯이 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대응하는 임기응변(臨機應變). 원래의 저울추는 아주 바른 것이지만, 나쁜짓을 일삼는 무리들이 정권을 쥐고 흔들게 됨에 따라 權자에 임기응변이라는 뜻이 생김.
櫃/柜
함 궤 guì 꾸웨이木나무목/18
= 나무 목(木) + 함 궤(匱)
독자간체 350, 5급
竅/窍
구멍 규 (본음: 교) qiào 치야오穴구멍혈/18
= 구멍혈(穴) + 노래할 교(敫)
䆻(동, 穴/17), 6급
剋/克
이길 극 kēi 케이刂선칼도방/9
= 이길 극(克) + 칼 도(刀 = 刂 칼도방, 선 칼 도)
尅(속, 寸마디촌/10), (중어) 때리다, 독자간체350, 4급
極/极
다할 극 jí 지이木나무목/13
= 나무 목(木) + 빠를 극(亟)
독자간체350, 3급
劇/剧
심할 극 jù 쥐刂선칼도방/15
=. 원숭이거(豦) + 칼 도(刂=刀)
독자간체 350, 4급.
僅/仅
겨우 근 jǐn 진亻사람인변/13
타내는 = 사람 인(亻(=人) + 진흙 근(堇)
㢙(동, 广/16), 독자간체350, 4급
衹/只
승려복 기 zhī 쯔히(지)衤옷의변/9
= 옷 의(衣 = 衤옷의 변) + 각시 씨(氏)
祗(동)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1/9 - 가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2/9 - 나다라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3/9 - 마바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4/9 - 사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5/9 - 아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6/9 - 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7/9 - 차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8/9 - 카타파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9/9 - 하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간화편방 簡化偏旁 14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1/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2/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3/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1/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2/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3/3
중국어 발음 기호 자모표 (병음 기호)
중국 4 행정계층 및 성도, 수도 목록: 23(22)성(省) 5자치구(自治區) 4직할시(直轄市) 2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2/9 - 나다라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3/9 - 마바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4/9 - 사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5/9 - 아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6/9 - 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7/9 - 차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8/9 - 카타파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9/9 - 하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간화편방 簡化偏旁 14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1/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2/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3/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1/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2/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3/3
중국어 발음 기호 자모표 (병음 기호)
중국 4 행정계층 및 성도, 수도 목록: 23(22)성(省) 5자치구(自治區) 4직할시(直轄市) 2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글자를 하나하나 찾아서 이 표를 만드는데 지겨울 만큼 시간이 걸렸습니다. 처음으로 한자를 공부하는 분이라면, 아마도, 지겨움을 느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욕심 부리지 않고 매일 몇 자씩 익히다 보면 즐거운 끝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