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한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2/3
아래는 편방용 간체자 132자의 번체자 / 간체자 (繁體字 / 簡體字) 정리표 (가나다 순)입니다. 총 3 페이지 가운데 2 페이지 입니다.
罒(=网, 㓁, 罓) 그물망머리/19
= 그물 망() + 벼리 유(維). 벼리: 그물의 코를 꿰는 굵은 동아리 줄
편방용 132
木나무목/15, 楽(약), 편방용 132 , 2급
人 사람인/ 8획, 편방용 132, 1급
=倈=徠(동) 来(약, 木/7)
入 들입/ 8, 편방용 132, 2급
両 이렇게 쓰는 것은 일본식 약자임
心마음심/15, 편방용 132, 4급
= 범 호 엄(虍) + 생각 사(思)
鹿사슴록/19, 婯(동), 편방용 132, 4급
止그칠지/16, 편방용 132, 3급
= 책 력(厤) + 그칠 지(止)
지날 력(歷/历)과 책 력(曆/历) 간체자 같음
日날일/16, 편방용 132
= 책 력(厤) + 날 일(日)
=厤(동)=暦(약)
지날 력(歷/历)과 책 력(曆/历) 간체자 같음
雨비우/24, 편방용 132, 5급
=霛(고) 𢩙(고) 䨩(동, 雨/18) 灵(속, 火/7)
皿그릇명/16, 합그릇 : 뚜껑이 있는 그릇
(중어) 오두막 집 庐 [lú : 루우], 편방용 132
虍범호엄/13
= 범호 엄(虍 = 虎) + 사내 남(男) > 용맹한 사내가 범을 사로잡다
虜(속, 아래쪽을 男으로 씀), 擄(동) 편방용 132
鹵 소금로/11, 부수자
滷 물 소금 로, 塷 밭 소금 로
氵 물 수(삼수)변/14
塷 밭 소금 로
金쇠금/16,
= 쇠 금(金) + 새길 록(彔 = 录)
録(약, 金/16)
편방용 132, 5급
龍 룡룡/16, 부수자, 편방용 132, 5급
竜(일본약자)
女 계집녀/ 11획 / 편방용 132
바닥에 놓고 끌다
刂선칼도방/15, 편방용 132
人사람인/8, 편방용 132
隹새추/19,
= 산신 리(离) + 새 추(隹)
离 - 산신 리, 도깨비 치
(중어, 개사)~에서, ~로 부터....까지, 편방용 132, 2급
馬 말마/10, 부수자, 편방용 132, 3급
艹풀초머리/13,
= 풀 초(艹 = 草) + 긴꼬리 원숭이 우(禺) > 풀 밭에 짐승발자국이 드먼개 있다
편방용 132, 3급
貝 조개패/ 12,
= 그물망 머리(罒) + 조개패(貝)
팔매(賣)의 반대자, 편방용 132, 1급
貝 조개패/15,
= 선비사(士) + 살매(買), 반대자는 살 매(買)
편방용 132, 2급
麥 보리맥/11, 부수자, 편방용 132, 5급
黽 맹꽁이맹/13, 부수자, 편방용 132
灬 연화발/ 12획 / 편방용 132, 4급
无는 고자(古字)이자 간체자
門 문문/8, 부수자, 편방용 132, 2급
癶 필발머리/ 12획, 癶필발머리(癶/5)
> 피어나다, 내보내다
필 발(發/发) 터럭 발(髮/发) 간체자 같음., 편방용 132, 3급
髮터럭발/15
> 몸에 난 길고 굵은 털
필 발(發/发) 터럭 발(髮/发) 간체자 같음
髪(약, 髟/14), 편방용 132, 3급
辶 쉬엄쉬엄갈착(책받침)/19
쉬엄쉬엄갈착(辶) + 보이지않을면(臱). 무엇의 테두리, 가장자리.
邉(와자, 辶/17). 辺(통자, 辶/6), 편방용 132. 2급.
亻사람인변/12
= 사람 인(亻 = 人) + 화살 통 비(𤰇)
僃(본, 亻/13), 편방용 132, 2급
貝 조개패/14, 편방용 132, 2급
巾 수건건/ 10,
> 글자의 오른쪽 부분은 땅이 겹겹이 쌓여 높은 땅이라는 뜻이고, 왼쪽은 널리빙두를잡(帀). 편방용 132, 1급
宀 갓머리/15, 冩(속, 冖/14),
(중어) 글씨를 쓰다, 편방용 132, 1급
生 날생/ 11, 편방용 132, 6급
殳 갖은등글월문/11, 편방용 132, 5급
𣪆(동) 𣏂(동, 木/6)
口 입구/ 14획
= 오히려 상(尙) + 맛있을 지(旨)
嚐(동) 甞(동, 甘달감/13), 편방용 132, 4급
口입구/13, 편방용 132, 6급
耳 귀이/18, 편방용 132
耳 귀이/ ,편방용 132
> 귀와 입이 북방(壬:하늘)에 통하는 사람
山 뫼산/ 12획,
= 걸음 보(步)+개 술(戌)), 한 해, 두 해 할 때의 해 = 年
歲(동, 止그칠지/13, 㒸(고, 八여덟팔/9), 편방용 132 , 1급
尸 주검시엄/21,
> 글자 아래 쪽은 나라 이름 촉(蜀)자이고 산누에나방 애벌레를 뜻하기도함
属(속, 尸/12), 편방용 132, 5급
子 아들자/10,
= 아들 자(子) + 이을 계(系)
편방용 132, 4급
士 선비사/14획, 편방용 132, 5급
壽(사야공일구촌), 夀(이체)
聿 붓율/ 13획 / 편방용 132, 5급
> 가지런히 하여 삼가다
日 날일/10획.
날일(日) + 절사(관청 시, 寺).
편방용 132. 1급.
寸 마디촌/ 12, 편방용 132, 5급
宀 갓머리/15,
= 갓머리(宀) + 차례 번(番)
讅(동, 言/22) 宷(동, 宀/10), 편방용 132, 6급
隹 새추/18획, 편방용 132, 3급
㕠(중어, 이체)
(중어 량사) 쌍을 이루는 것을 셈
간체자(簡體字) 또는 간화자(簡化字)는 중국에서 만든 것이고, 중국에서만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본래의 한자에서 필 획을 줄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를 이르는 말이고, 이에 대응하여 본래의 글자를 번체자(繁體字) 또는 정체자(正體字)라고 부릅니다.
중국 국무원(國務院) 문자개혁위원회에서 1956년 한자간소화방안(漢字簡素化方案)을 공포하고, 1964년 총 2,238자의 간체자를 만들어 공포하였고, 1986년 국무원 국가언어문자공작위원회에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를 통하여 총 2,235자의 간체자를 공표하였습니다.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는 세 개의 표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글자의 편방(偏旁)으로 쓰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쓰는 독자 간체자 (獨自簡體字) 350자, 다른 글자 옆에 붙여 쓰기도 하는 편방(偏旁) 간체자 132자, 다른 글자의 편방으로만 쓰이고 독자적으로는 쓰지 않는 간화편방(簡化偏旁) 14자가 실려 있습니다. 그 밖에 이체자 39자가 있습니다. 지금 쓰이는 간체자는 총 2,249자입니다.
한자는 다른 한자를 서로 붙여서 만든 글자가 많고, 그러한 측면에서 보면 실제 간체자는 간화편방 14자, 편방용 간체 132자 그리고 독자간체 350자 등 500 여자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羅/罗
그물 벌일(펼) 라 luó 루어罒(=网, 㓁, 罓) 그물망머리/19
= 그물 망() + 벼리 유(維). 벼리: 그물의 코를 꿰는 굵은 동아리 줄
편방용 132
樂/乐
즐길 락 lè 러, 노래 악 yuè 이웨, 좋아할 요 lè 러木나무목/15, 楽(약), 편방용 132 , 2급
來/来
올 래 lái 라이人 사람인/ 8획, 편방용 132, 1급
=倈=徠(동) 来(약, 木/7)
兩/两
두 량 liǎng 리양(량)入 들입/ 8, 편방용 132, 2급
両 이렇게 쓰는 것은 일본식 약자임
慮/虑
헤아릴 려 lǜ 뤼心마음심/15, 편방용 132, 4급
= 범 호 엄(虍) + 생각 사(思)
麗/丽
고울 려, 땅이름 리 lì 리鹿사슴록/19, 婯(동), 편방용 132, 4급
歷/历
지날 력 lì 리止그칠지/16, 편방용 132, 3급
= 책 력(厤) + 그칠 지(止)
지날 력(歷/历)과 책 력(曆/历) 간체자 같음
曆/历
책 력 lì 리日날일/16, 편방용 132
= 책 력(厤) + 날 일(日)
=厤(동)=暦(약)
지날 력(歷/历)과 책 력(曆/历) 간체자 같음
靈/灵
신령 령 líng 링雨비우/24, 편방용 132, 5급
=霛(고) 𢩙(고) 䨩(동, 雨/18) 灵(속, 火/7)
盧/卢
합그릇 로 lú 루우皿그릇명/16, 합그릇 : 뚜껑이 있는 그릇
(중어) 오두막 집 庐 [lú : 루우], 편방용 132
虜/虏
사로잡을 로 lǔ 루우虍범호엄/13
= 범호 엄(虍 = 虎) + 사내 남(男) > 용맹한 사내가 범을 사로잡다
虜(속, 아래쪽을 男으로 씀), 擄(동) 편방용 132
鹵/卤
짠 땅 로, 소금 로 lǔ 루우鹵 소금로/11, 부수자
滷 물 소금 로, 塷 밭 소금 로
滷/卤
물 소금 밭 로 lǔ 루우氵 물 수(삼수)변/14
塷 밭 소금 로
録/录
새길 록 lù 루金쇠금/16,
= 쇠 금(金) + 새길 록(彔 = 录)
録(약, 金/16)
편방용 132, 5급
龍/龙
룡 룡 lóng 롱龍 룡룡/16, 부수자, 편방용 132, 5급
竜(일본약자)
婁/娄
끌 루, 별이름 루 lóu 로우女 계집녀/ 11획 / 편방용 132
바닥에 놓고 끌다
劉/刘
죽일 류 liú 리요우刂선칼도방/15, 편방용 132
侖/仑
조리세울 륜 lún 룬人사람인/8, 편방용 132
離/离
떠날 리 lí 리이隹새추/19,
= 산신 리(离) + 새 추(隹)
离 - 산신 리, 도깨비 치
(중어, 개사)~에서, ~로 부터....까지, 편방용 132, 2급
馬/马
말 마 mǎ 마아馬 말마/10, 부수자, 편방용 132, 3급
萬/万
드먼 (일만) 만 wàn 완艹풀초머리/13,
= 풀 초(艹 = 草) + 긴꼬리 원숭이 우(禺) > 풀 밭에 짐승발자국이 드먼개 있다
편방용 132, 3급
買/买
살 매 mǎi 마이貝 조개패/ 12,
= 그물망 머리(罒) + 조개패(貝)
팔매(賣)의 반대자, 편방용 132, 1급
賣/卖
팔 매 mài 마이貝 조개패/15,
= 선비사(士) + 살매(買), 반대자는 살 매(買)
편방용 132, 2급
麥/麦
보리 맥 mài 마이麥 보리맥/11, 부수자, 편방용 132, 5급
黽/黾
맹꽁이 맹, 힘쓸 민 miǎn 미옌, 땅이름 민 miǎn 미엔黽 맹꽁이맹/13, 부수자, 편방용 132
無/无
없을 무 mó 모어灬 연화발/ 12획 / 편방용 132, 4급
无는 고자(古字)이자 간체자
門/门
문 문 mén 먼門 문문/8, 부수자, 편방용 132, 2급
發/发
필 발 fā 파癶 필발머리/ 12획, 癶필발머리(癶/5)
> 피어나다, 내보내다
필 발(發/发) 터럭 발(髮/发) 간체자 같음., 편방용 132, 3급
髮/发
터럭 발 fà 파髮터럭발/15
> 몸에 난 길고 굵은 털
필 발(發/发) 터럭 발(髮/发) 간체자 같음
髪(약, 髟/14), 편방용 132, 3급
邊/边
가 변 biān 삐옌辶 쉬엄쉬엄갈착(책받침)/19
쉬엄쉬엄갈착(辶) + 보이지않을면(臱). 무엇의 테두리, 가장자리.
邉(와자, 辶/17). 辺(통자, 辶/6), 편방용 132. 2급.
備/备
갖출 비 bèi 뻬이亻사람인변/12
= 사람 인(亻 = 人) + 화살 통 비(𤰇)
僃(본, 亻/13), 편방용 132, 2급
賓/宾
손 빈 bīn 삔貝 조개패/14, 편방용 132, 2급
師/师
스승 사 shī 시巾 수건건/ 10,
> 글자의 오른쪽 부분은 땅이 겹겹이 쌓여 높은 땅이라는 뜻이고, 왼쪽은 널리빙두를잡(帀). 편방용 132, 1급
寫/写
베낄 사 xiě 시예宀 갓머리/15, 冩(속, 冖/14),
(중어) 글씨를 쓰다, 편방용 132, 1급
産/产
낳을 산 chǎn 챤生 날생/ 11, 편방용 132, 6급
殺/杀
죽일 살 shā 샤殳 갖은등글월문/11, 편방용 132, 5급
𣪆(동) 𣏂(동, 木/6)
嘗/尝
맛볼 상 cháng 챠앙口 입구/ 14획
= 오히려 상(尙) + 맛있을 지(旨)
嚐(동) 甞(동, 甘달감/13), 편방용 132, 4급
嗇/啬
아낄 색 sè 써口입구/13, 편방용 132, 6급
聶/聂
소곤거릴 섭 niè 니에耳 귀이/18, 편방용 132
聖/圣
거룩할 성 shèng 셩耳 귀이/ ,편방용 132
> 귀와 입이 북방(壬:하늘)에 통하는 사람
嵗/岁
해 세 suì 쑤이山 뫼산/ 12획,
= 걸음 보(步)+개 술(戌)), 한 해, 두 해 할 때의 해 = 年
歲(동, 止그칠지/13, 㒸(고, 八여덟팔/9), 편방용 132 , 1급
屬/属
무리 속 shǔ 슈우, 붙을 촉尸 주검시엄/21,
> 글자 아래 쪽은 나라 이름 촉(蜀)자이고 산누에나방 애벌레를 뜻하기도함
属(속, 尸/12), 편방용 132, 5급
孫/孙
손자 손 sūn 순子 아들자/10,
= 아들 자(子) + 이을 계(系)
편방용 132, 4급
夀/寿
목숨 수 shòu 쇼우士 선비사/14획, 편방용 132, 5급
壽(사야공일구촌), 夀(이체)
肅/肃
삼갈 숙 sù 쑤聿 붓율/ 13획 / 편방용 132, 5급
> 가지런히 하여 삼가다
時/时
때 시 shí 시이日 날일/10획.
날일(日) + 절사(관청 시, 寺).
편방용 132. 1급.
尋/寻
찾을 심 xún 쉰寸 마디촌/ 12, 편방용 132, 5급
審/审
살필 심, (소용돌이가 빙빙) 돌 반 shěn 션宀 갓머리/15,
= 갓머리(宀) + 차례 번(番)
讅(동, 言/22) 宷(동, 宀/10), 편방용 132, 6급
雙/双
두(두개) 쌍 shuāng 슈앙隹 새추/18획, 편방용 132, 3급
㕠(중어, 이체)
(중어 량사) 쌍을 이루는 것을 셈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간화편방 簡化偏旁 14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1/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2/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3/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1/9 - 가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2/9 - 나다라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3/9 - 마바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4/9 - 사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5/9 - 아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6/9 - 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7/9 - 차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8/9 - 카타파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9/9 - 하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1/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2/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3/3
중국어 발음 기호 자모표 (병음 기호)
중국 4 행정계층 및 성도, 수도 목록: 23(22)성(省) 5자치구(自治區) 4직할시(直轄市) 2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1/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2/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3/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1/9 - 가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2/9 - 나다라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3/9 - 마바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4/9 - 사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5/9 - 아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6/9 - 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7/9 - 차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8/9 - 카타파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9/9 - 하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1/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2/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3/3
중국어 발음 기호 자모표 (병음 기호)
중국 4 행정계층 및 성도, 수도 목록: 23(22)성(省) 5자치구(自治區) 4직할시(直轄市) 2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간체자(簡體字) 또는 간화자(簡化字)는 중국에서 만든 것이고, 중국에서만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본래의 한자에서 필 획을 줄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를 이르는 말이고, 이에 대응하여 본래의 글자를 번체자(繁體字) 또는 정체자(正體字)라고 부릅니다.
중국 국무원(國務院) 문자개혁위원회에서 1956년 한자간소화방안(漢字簡素化方案)을 공포하고, 1964년 총 2,238자의 간체자를 만들어 공포하였고, 1986년 국무원 국가언어문자공작위원회에서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를 통하여 총 2,235자의 간체자를 공표하였습니다.
간화자총표(簡化字總表)는 세 개의 표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글자의 편방(偏旁)으로 쓰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쓰는 독자 간체자 (獨自簡體字) 350자, 다른 글자 옆에 붙여 쓰기도 하는 편방(偏旁) 간체자 132자, 다른 글자의 편방으로만 쓰이고 독자적으로는 쓰지 않는 간화편방(簡化偏旁) 14자가 실려 있습니다. 그 밖에 이체자 39자가 있습니다. 지금 쓰이는 간체자는 총 2,249자입니다.
한자는 다른 한자를 서로 붙여서 만든 글자가 많고, 그러한 측면에서 보면 실제 간체자는 간화편방 14자, 편방용 간체 132자 그리고 독자간체 350자 등 500 여자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