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한어수평고시(HSK) 정자/간체자 정리표 (1급 161자) 3/3
한어수평고시 (漢語水平考試 / 汉语水平考试 / HSK) 1급에 나오는 한자 161자의 번체자 / 간체자 (繁體字 / 簡體字)를 정리한 표입니다. / 다음에 한자가 없는 것은 간체자가 따로 있지 않고 번체자(정자체)를 그대로 쓰는 글자 입니다. 가나다 순입니다. 총 3 쪽 가운데 3 쪽입니다.
儿 어진사람인발/8. 절구구(臼) + 어진사람인발(儿)
戈 창과/7획
心 마음심/13
木 나무목/15. 나무목(木) + 강이길양(羕)
言 말씀언/14. 말씀언(言) + 나오(吾)
灬 불화(火)발/15
十 열십/4
雨 비우/8. 부수자
又 또우/4
阝언덕부/10. 둥그렇게 담으로 둘러 쌓인 집.
月 달월/4. 부수자. 육(肉)달 월 = 肉 고기 육 (6획)
口 입구/12.
[중어] 1) 야, 어이, 여보시오... (부르는 소리) 2) 여보세요(전화) 3)먹이다
月 달월/6획
木 나무목/12
酉 닭유/18
衣 옷의/6. 부수자.
人 사람인/2. 부수자.
言 말씀언/14. 말씀언(言) + 참을인(忍). 알다.
子 아들자/3. 부수자.
[중어, zi]) 의자(椅子[yǐzi]) 바지(裤子 [kùzi])... 등과 같이 이름말을 만들 때는 소리가 짧게 [쯔]로 남.
子 아들자/6
日 날일/9. 날일(日) + 잠깐사(乍)
亻사람인변/7
冂 멀경몸/6. 둘, 다시.
土 흙토/6
女 계집녀/8. 계집녀(女) + 또차(공경스러울저)(且)
辶 책받침/8획. 손에 닿는 가까운 것 또는 곳, 이곳, 이것
白 흰백/8. 흰백(白) + 구기작(勺). 어조사: ~의. 구기: 술 따위를 푸는 자루달린 국자
刂선칼도방/9. 뒤후(後)와 반대자
金 쇠금/16
雨 비우/13. 비우(雨) + 펼신(申)
广 넓은집광엄(엄호)/8. 넓은집광(广=廣) + 점칠점(占). 물건을 파는 집(가게)
黑 검을흑/17. 검을흑(黑) + 점칠점(占).
[중어, 량사] (~儿) 약간. 조금. [중어] 시(몇 시 할 때의 시).
金 쇠금/20
土 흙토/7획
亻사람인변/7. 살다, 기거하다
亻사람인변/11. 사람인(人) + 까닭고(故)
丨뚫을곤/4. 입구(口) + 뚫을곤(丨). 무엇의 한 가운데를 꿰뚫는 모양(상형자, 지사자).
心 마음심/9. 잠깐사(乍) + 마음심(心). 속어(俗語)임.
艹 풀초머리(초두)/12
大 큰대/4.
言 말씀언/15. 말씀언(言) + 푸를청(靑)
耳 귀이/22. 귀이(耳) + 드릴정(呈>王) + 베풀덕(㥁) > 귀를 세워서 듣다
扌손수변/5. 손수변(재방변)(手=扌) + 고무래정(丁)
亻사람인변/5
女 계집녀/7. 우리 한자에는 없는 글자임
十 열십/8.
大 큰대/4.
[중어, 부사] 매우, 아주
父 아비부/8
艹 풀초머리(초두)/9
氵물수변/14
一 한일/3획
子 아들자/16
氵물수변/14. 물수(水) + 어려울난(難)
王 구슬옥변/11
虍 범호엄/13. 号(부르짖을 호) + 虎(범 호). 차례를 일컫는 번호
女 계집녀/6. 어머니(女)가 아들(子)을 안고 좋아한다
口 입구/8. 거슬리지 않고 알맞게 고르다, 벼(밥)가 입맛에 알맞아 고르다.
[중어, 접속사] ~와, ~과
言말씀언/13
欠 하품흠/22
忄마음심변/21
口 에운담몸(큰입구)/6. 본래로 되돌리다, 되돌아 가다
曰 가로왈/13. 어떤 목적을 위해 사람들이 모이다.
[중어] (배워서) ~ 할 수 있다. ~줄 안다. [중어, kuai] 회계,통계.
亻사람인변/10. 사람인(人) + 제후후(侯)
彳어진사람인(두인)변/9
彳어진사람인(두인)변/9.
[중어, 부사] 매우, 아주, 몹시, 퍽....
口 입구/6.
[중어, 동사] 먹다, 마시다, 빨다, 피우다...
臼 절구구/16
口 입구/12
兒/儿
아이 아 ér儿 어진사람인발/8. 절구구(臼) + 어진사람인발(儿)
我
나 아 wǒ戈 창과/7획
愛/爱
사랑 애 ài心 마음심/13
樣/样
모양 양 yàng, 상수리나무 상木 나무목/15. 나무목(木) + 강이길양(羕)
語/语
말씀 어 yǔ言 말씀언/14. 말씀언(言) + 나오(吾)
熱/热
더울 열 rè灬 불화(火)발/15
午
낮 오, 열두번째 지지 오 wǔ十 열십/4
雨
비 우 yǔ雨 비우/8. 부수자
友
벗 우 yǒu又 또우/4
院
둥근 담 집 원 yuàn阝언덕부/10. 둥그렇게 담으로 둘러 쌓인 집.
月
달 월 yuè月 달월/4. 부수자. 육(肉)달 월 = 肉 고기 육 (6획)
喂
두려울 위 wèi口 입구/12.
[중어] 1) 야, 어이, 여보시오... (부르는 소리) 2) 여보세요(전화) 3)먹이다
有
있을 유 yǒu月 달월/6획
椅
걸상 의 yǐ木 나무목/12
醫/医
의원 의 yī酉 닭유/18
衣
옷 의 yī衣 옷의/6. 부수자.
人
사람 인 rén人 사람인/2. 부수자.
認/认
알 인 rèn言 말씀언/14. 말씀언(言) + 참을인(忍). 알다.
子
아들 자 zǐ子 아들자/3. 부수자.
[중어, zi]) 의자(椅子[yǐzi]) 바지(裤子 [kùzi])... 등과 같이 이름말을 만들 때는 소리가 짧게 [쯔]로 남.
字
글자 자 zì子 아들자/6
昨
어제 작 zuó日 날일/9. 날일(日) + 잠깐사(乍)
作
지을 작 zuò亻사람인변/7
再
두 재 zài冂 멀경몸/6. 둘, 다시.
在
있을 재 zài土 흙토/6
姐
누이(손위 누이) 저 jiě女 계집녀/8. 계집녀(女) + 또차(공경스러울저)(且)
這/这
이 저 zhè辶 책받침/8획. 손에 닿는 가까운 것 또는 곳, 이곳, 이것
的
과녁 적, 어조사(~의) 적 de白 흰백/8. 흰백(白) + 구기작(勺). 어조사: ~의. 구기: 술 따위를 푸는 자루달린 국자
前
앞 전 qián刂선칼도방/9. 뒤후(後)와 반대자
錢/钱
돈 전 qián金 쇠금/16
電/电
번개 전 diàn雨 비우/13. 비우(雨) + 펼신(申)
店
집 점 diàn广 넓은집광엄(엄호)/8. 넓은집광(广=廣) + 점칠점(占). 물건을 파는 집(가게)
點/点
점 점 diǎn黑 검을흑/17. 검을흑(黑) + 점칠점(占).
[중어, 량사] (~儿) 약간. 조금. [중어] 시(몇 시 할 때의 시).
鐘/钟
쇠북 종 zhōng金 쇠금/20
坐
앉을 좌 zuò土 흙토/7획
住
살 주 zhù亻사람인변/7. 살다, 기거하다
做
지을 주 zuò亻사람인변/11. 사람인(人) + 까닭고(故)
中
가운데 중 zhōng丨뚫을곤/4. 입구(口) + 뚫을곤(丨). 무엇의 한 가운데를 꿰뚫는 모양(상형자, 지사자).
怎
어찌 즘 zěn心 마음심/9. 잠깐사(乍) + 마음심(心). 속어(俗語)임.
菜
나물 채 cài艹 풀초머리(초두)/12
天
하늘 천 tiān大 큰대/4.
請/请
여쭐 청 qǐng言 말씀언/15. 말씀언(言) + 푸를청(靑)
聽/听
들을 청 tīng耳 귀이/22. 귀이(耳) + 드릴정(呈>王) + 베풀덕(㥁) > 귀를 세워서 듣다
打
칠 타 dǎ扌손수변/5. 손수변(재방변)(手=扌) + 고무래정(丁)
他
다를 타 tā亻사람인변/5
她
그 여자 타 tā女 계집녀/7. 우리 한자에는 없는 글자임
卓/桌
높을 탁 zhuō十 열십/8.
太
클 태 tài大 큰대/4.
[중어, 부사] 매우, 아주
爸
아비 파 bà父 아비부/8
苹
개구리밥 평 píng艹 풀초머리(초두)/9
漂
(물위에) 뜰 표 piāo氵물수변/14
下
아래 하 xià一 한일/3획
學/学
배울 학 xué子 아들자/16
漢/汉
한수(漢水) 한 Hàn氵물수변/14. 물수(水) + 어려울난(難)
現/现
나타날 현 xiàn王 구슬옥변/11
號/号
부를 호 hào虍 범호엄/13. 号(부르짖을 호) + 虎(범 호). 차례를 일컫는 번호
好
좋을 호 hǎo女 계집녀/6. 어머니(女)가 아들(子)을 안고 좋아한다
和
고를 화 hé口 입구/8. 거슬리지 않고 알맞게 고르다, 벼(밥)가 입맛에 알맞아 고르다.
[중어, 접속사] ~와, ~과
話/话
말씀 화 huà言말씀언/13
歡/欢
기뻐할 환 huān欠 하품흠/22
懽/欢
기뻐할 환 huān忄마음심변/21
回
돌 회 huí口 에운담몸(큰입구)/6. 본래로 되돌리다, 되돌아 가다
會/会
모일 회 huì曰 가로왈/13. 어떤 목적을 위해 사람들이 모이다.
[중어] (배워서) ~ 할 수 있다. ~줄 안다. [중어, kuai] 회계,통계.
候
철(때) 후, 엿볼 후 hòu亻사람인변/10. 사람인(人) + 제후후(侯)
後/后
뒤 후 hòu彳어진사람인(두인)변/9
很
패려궂을 흔, 거스를 흔 hěn彳어진사람인(두인)변/9.
[중어, 부사] 매우, 아주, 몹시, 퍽....
吃
말더듬을 흘 chī口 입구/6.
[중어, 동사] 먹다, 마시다, 빨다, 피우다...
興/兴
일어날 흥 xīng臼 절구구/16
喜
기쁠 희 xǐ口 입구/12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1/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2/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3/3
중국어 발음 기호 자모표 (병음 기호)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간화편방 簡化偏旁 14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1/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2/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3/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1/9 - 가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2/9 - 나다라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3/9 - 마바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4/9 - 사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5/9 - 아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6/9 - 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7/9 - 차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8/9 - 카타파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9/9 - 하
중국 4 행정계층 및 성도, 수도 목록: 23(22)성(省) 5자치구(自治區) 4직할시(直轄市) 2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2/3
한어수평고시(HSK) 1급 정자/간체자 정리표 3/3
중국어 발음 기호 자모표 (병음 기호)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간화편방 簡化偏旁 14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1/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2/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편방용 간체자 132자 3/3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1/9 - 가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2/9 - 나다라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3/9 - 마바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4/9 - 사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5/9 - 아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6/9 - 자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7/9 - 차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8/9 - 카타파
번체자/간체자 정리표, 독자 간체자 350자 9/9 - 하
중국 4 행정계층 및 성도, 수도 목록: 23(22)성(省) 5자치구(自治區) 4직할시(直轄市) 2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